Dear Mr. P,
We have been somehow trapped in a hexahedron for some time. I was so focused on the rectangular frame that I was chasing a certain shape, and before I knew it, I was inside a hexahedron. However, this doesn't mean that Mr. P and I are trapped in a hexahedron, which is being sucked into a vanishing point inside a frame. Fortunately or unfortunately, we actually share the sense of standing with our own feet on the floor of a hexahedral space with our hands groping the walls. Now that I've mentioned that Mr. P and I share a sense of space, I realize that my earlier remark about being "trapped in a hexahedron" is a bit rigid. Could it be that my penchant for chasing shapes in the same way I did before, even after we had encountered this hexahedral space together, was still present in my unconscious mind, manifesting itself in the form of angularly shaped words?
Although I said that I was preoccupied with the frame of a square, the shape Mr. P described to me was not a square. More precisely, it would be correct to say that I was preoccupied with using an imaginary rectangular frame to play around with some shapes in my mind. Even before Mr. P drew a shape on his own and showed it to me on a square piece of paper and on the monitor screen, we had both probably been drawing it in our minds with a rectangular framework. Why do we insist on imagining forms through a rectangular frame, even in our imagination? Is it just as natural as breathing for Mr. P, who is a painter? Someone once told me that the square is a patented product of mankind, born from the human mind. He assumes that as the number of tools (objects) humans owned increased and they organized them into rows, they became spatially aware and came up with the square.1 Perhaps that’s why I, who is not a painter like Mr. P, have a rectangular frame in my mind.
I thought we were drawing the same shape using the same rectangular frame. But there was a subtle disconnect between the shape I had in my mind based on Mr. P's description and the shape he later drew and showed me. I was a bit taken aback, but upon reflection, the inconsistency was somewhat inevitable. But what Mr. P then said made me confused. He said he could no longer tell how much the shape he drew in his mind's rectangular frame matched or differed from the one he actually drew on a real rectangular frame. In retrospect, I think we were already slowly transitioning from a rectangular frame to this hexahedral space at that point. We just didn't realize it until we had arrived in this space.
Let me take a brief detour to a different space-time. I often feel this not-so-large hexahedral space as if it were a massive strike zone. On a weeknight in the plaza in front of a baseball stadium, I was on the phone with Mr. P, who was somewhere else, while I was waiting to watch a game. I remember we had a long convers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of a rectangle and certain shapes. As the game was about to start, I rushed to wrap up our conversation and headed into the ballpark, where I spent well over two hours watching pitchers and catchers from both teams throw and catch balls across an invisible square of hexahedral. Perhaps it was because the afterimage of my conversation with Mr. P lingered in my mind. I believe that the pitcher and catcher have created an invisible geometry in that imaginary space by delineating a well-defined but invisible hexahedron called the strike zone, with the physical acts of pitching and catching based on mutual repetition and difference.2
Now we're back in the space of the hexahedron we walked in.Come to think of it, this space is not standing between people like a strike zone, but it is actually surrounding us, the people. Unlike baseballs that smoothly pass through an imaginary hexahedron, we are trapped in this real one. I thought for a while that we were like pitchers and catchers, gauging the hexahedron and drawing shapes from a distance, using a baseball as an intermediary. But at this point, I feel as though Mr. P and I are baseballs. The good news is that we can still move around and physically feel the faces of the hexahedron and draw shapes without being thrown around like a ball. But in a region known for its infinitely vast plains, touching and feeling anything is seen as the rudest of insults, or a crude and barbaric approach.3 Do we have to be like the people in that region and draw our geometry from a distance and just by speculation? I am not sure if it is possible for us, standing in this not-so-large and finite hexahedral space.
Now, whatever the circumstances, we must now draw our own shapes within this hexahedral space, not within the confines of a rectangle. Strictly speaking, it's not us; it's Mr. P, the artist, who paints. My role would be to look over the space with him. Even if we don't know the entirety of the shape right away, if we step on the surface of this place and trace some of the shapes, we might start to see the whole big picture that we couldn't get in our minds at once. Of course, it will be in a different way than when we met in a perfect rectangular frame. Furthermore, I hope that Mr. P can move on to another space of possibilities that exists on the other side of this hexahedron. That possibility probably arises from encountering a finite space rather than an infinitely vast plain. After all, only a ball that bounces off a hexahedron and stops somewhere in the ballpark can meet another hexahedron that will reshape it once again.
Respectfully yours,
C
Lim Seokho, Curator
1) See Akasegawa Genpei, Framed History (Tokyo: Chikuma Shobō, 2022).
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ike zone can be found on the “2024 Rules and Rule Changes” page on the KBO website (Accessed May 8, 2024).
https://www.koreabaseball.com/Kbo/League/GameManage2024.aspx
3) See Edwin A. Abbott, Flatland: A Romance of Many Dimensions (London: Seely & Co., 1884).
P 씨에게.
우리는 언젠가부터 한 육면체에 갇힌 신세가 되어버렸습니다. 사각형의 틀에 몰두하여 어떠한 형상을 쫓다 보니 어느새 육면체 내부에 들어와 있었죠. 그렇다고 해서 P 씨와 제가 틀 안의 소실점으로 빨려 들어가는 육면체 속에 갇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몰라도 우리는 실제로 육면체의 공간 바닥에 발을 딛고 서서 손으로는 벽을 더듬는 감각을 공유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P 씨와 제가 한 공간에 대한 각자의 감각을 공유한다고 말하고 나니, 앞서 제가 “육면체에 갇힌 신세”라고 한 말의 모양이 조금 모나게 느껴지네요. 우리가 이 육면체의 공간을 함께 맞닥뜨린 이후에도 여전히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형상을 쫓던 저의 습성이 무의식을 거쳐 모난 모양의 말로 나타난 것일까요?
사각형의 틀에 몰두했다고 말했지만, P 씨가 저에게 설명해 준 형상 자체는 사각형이 아니었습니다. 더 정확히는 어떤 형상을 머릿속에서 이리저리 다듬어 보기 위하여 가상의 사각형 틀을 사용하는 데 몰두했다고 말해야 옳겠네요. P 씨가 하나의 형상을 직접 그려서 저에게 네모난 종이와 모니터 화면으로 눈앞에 보여주었던 때 이전부터 아마 우리 둘 모두는 머릿속에서 사각형의 틀로써 그 형상을 그리고 있었을 것입니다. 왜 상상할 때조차 굳이 사각형의 틀을 통해 형상을 떠올리는 걸까요? 화가인 P 씨에게는 숨 쉬듯 자연스러운 일인가요? 누군가는 사각형이 인간의 머릿속에서 태어난, 인류가 고안해낸 특허품이라고 하더군요. 그는 인간이 소유한 도구(물건)들이 점차 늘어나 이를 여러 줄로 정연히 정리하는 과정에서 공간을 인식하여 사각형을 고안해 냈다고 추정합니다.1 그래서 P 씨처럼 화가가 아닌 저 또한 머릿속에 네모난 틀을 하나쯤은 갖추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우리가 동일한 사각형의 틀로 동일한 형상을 그리고 있다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제가 P 씨의 설명에 근거해 머릿속에 그리던 형상과, P 씨가 나중에 직접 그려서 보여준 형상 사이에는 어딘가 미묘한 어긋남이 존재했습니다. 조금 당황했지만 생각해 보니 이 어긋남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었죠. 하지만 P 씨가 그다음 한 말이 저를 어지럽혔습니다. 당신이 머릿속의 사각형 틀에 그린 형상과 실제 사각형 틀에 손수 그린 형상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고 어긋나는지 이제는 스스로도 더 이상 알 수 없게 되었다고 한 그 이야기 말입니다. 돌이켜 추측해 보건대 우리는 그 시점에 이미 사각형의 틀 앞에서 이 육면체의 공간으로 서서히 이행하고 있었던 듯합니다. 단지 이 공간에 당도하고 나서야 뒤늦게 알아차렸을 뿐이죠.
잠시 다른 시공간을 경유해 보겠습니다. 저는 이 크지 않은 육면체의 공간을 마치 거대한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과 같이 느끼고는 합니다. 어느 평일 저녁 한 야구장 앞 광장에서 경기 관람을 기다리던 저와 다른 곳에 있던 P 씨가 통화한 적이 있었죠. 사각형의 틀과 어떤 형상의 관계에 관해 한참 대화를 나눴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경기 시작이 임박해 급히 대화를 마무리 짓고 야구장 안으로 들어선 저는 두 시간이 훌쩍 넘는 시간 동안 양 팀의 투수와 포수가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의 육면체를 사이에 두고 공을 던지고 잡는 모습을 지켜봤습니다. P 씨와 나눈 대화의 잔상이 머릿속에 남아있어서 그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때 투수와 포수는 스트라이크 존이라는 기준이 명확하지만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육면체를, 피칭(pitching)과 캐칭(catching)이라는 상호 반복과 차이에 기반한 신체 행위로 가늠하여, 그 가상의 공간에 보이지 않는 형상을 그려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2
다시 우리가 밟고 선 육면체의 공간으로 돌아왔습니다. 새삼스럽지만 이 공간은 스트라이크 존처럼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지 않고, 사람인 우리를 둘러싸고 있군요. 가상의 육면체를 통과해 유유히 빠져나가는 야구공과 달리 우리는 이 실존하는 육면체에 갇혀 있습니다. 저는 얼마간 우리가 투수와 포수처럼 거리를 둔 채 야구공을 매개로 육면체를 가늠하고 형상을 그려내는 사람들이라 생각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P 씨와 제가 야구공 그 자체인 기분이 듭니다. 다행인 점은 여전히 우리가 공처럼 던져지지 않고도 스스로 움직여 육면체의 면면을 몸소 감각하고 형상을 그려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무한히 광활한 평원으로 유명한 어느 지역에서는 무엇을 만지고 느끼는 행위를 가장 무례한 모욕으로 여기거나, 조잡하고 야만적인 접근으로 치부하는 시각이 있다고 합니다.3 우리도 그 지역의 사람들처럼 멀리서 바라보고 추측하는 것만으로 형상을 그려야 할까요? 이 크지 않은 유한한 육면체의 공간에 서있는 우리에게 가능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자, 전후 사정이 어찌 되었든 간에 이제 우리는 사각형의 틀이 아니라 이 육면체 공간 안에서 반드시 형상을 그려내야 합니다. 엄밀하게는 우리가 아니라 화가인 P 씨가 그림을 그리고, 저는 이 공간을 P 씨와 함께 살피는 역할을 하겠죠. 당장 형상의 전체를 알 수 없더라도 이곳의 면면을 밟고 더듬어가며 어떤 형상들을 그려 나간다면, 머릿속에서 한 번에 다 그리지 못하던 커다란 전체 형상을 비로소 만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온전한 사각형의 틀로 만나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말입니다. 더 나아가서 저는 P 씨가 이 육면체의 이면에 존재하는 또 다른 가능성의 공간으로 이행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 가능성은 아마 무한히 광활한 평야보다는 유한한 공간과의 만남으로 발생하겠죠. 육면체를 유유히 빠져나가 야구장 어딘가에 멈춰 선 공만이 오직 다시금 새로운 형상을 그려낼 또 다른 육면체와 만날 수 있으니까요.
C로부터.
임석호, 큐레이터
1) 아카세가와 겐페이, 『사각형의 역사』, 김난주 옮김, 안그라픽스, 2016, 70~98쪽 참조.
2) 스트라이크 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KBO(한국야구위원회) 홈페이지의 ‘2024 규정∙규칙 변화’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2024.5.8.).
https://www.koreabaseball.com/Kbo/League/GameManage2024.aspx
3) 에드윈 A. 애보트, 『플랫랜드』, 윤태일 옮김, 늘봄, 2015(1998), 94, 120쪽 참조.
We have been somehow trapped in a hexahedron for some time. I was so focused on the rectangular frame that I was chasing a certain shape, and before I knew it, I was inside a hexahedron. However, this doesn't mean that Mr. P and I are trapped in a hexahedron, which is being sucked into a vanishing point inside a frame. Fortunately or unfortunately, we actually share the sense of standing with our own feet on the floor of a hexahedral space with our hands groping the walls. Now that I've mentioned that Mr. P and I share a sense of space, I realize that my earlier remark about being "trapped in a hexahedron" is a bit rigid. Could it be that my penchant for chasing shapes in the same way I did before, even after we had encountered this hexahedral space together, was still present in my unconscious mind, manifesting itself in the form of angularly shaped words?
Although I said that I was preoccupied with the frame of a square, the shape Mr. P described to me was not a square. More precisely, it would be correct to say that I was preoccupied with using an imaginary rectangular frame to play around with some shapes in my mind. Even before Mr. P drew a shape on his own and showed it to me on a square piece of paper and on the monitor screen, we had both probably been drawing it in our minds with a rectangular framework. Why do we insist on imagining forms through a rectangular frame, even in our imagination? Is it just as natural as breathing for Mr. P, who is a painter? Someone once told me that the square is a patented product of mankind, born from the human mind. He assumes that as the number of tools (objects) humans owned increased and they organized them into rows, they became spatially aware and came up with the square.1 Perhaps that’s why I, who is not a painter like Mr. P, have a rectangular frame in my mind.
I thought we were drawing the same shape using the same rectangular frame. But there was a subtle disconnect between the shape I had in my mind based on Mr. P's description and the shape he later drew and showed me. I was a bit taken aback, but upon reflection, the inconsistency was somewhat inevitable. But what Mr. P then said made me confused. He said he could no longer tell how much the shape he drew in his mind's rectangular frame matched or differed from the one he actually drew on a real rectangular frame. In retrospect, I think we were already slowly transitioning from a rectangular frame to this hexahedral space at that point. We just didn't realize it until we had arrived in this space.
Let me take a brief detour to a different space-time. I often feel this not-so-large hexahedral space as if it were a massive strike zone. On a weeknight in the plaza in front of a baseball stadium, I was on the phone with Mr. P, who was somewhere else, while I was waiting to watch a game. I remember we had a long convers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of a rectangle and certain shapes. As the game was about to start, I rushed to wrap up our conversation and headed into the ballpark, where I spent well over two hours watching pitchers and catchers from both teams throw and catch balls across an invisible square of hexahedral. Perhaps it was because the afterimage of my conversation with Mr. P lingered in my mind. I believe that the pitcher and catcher have created an invisible geometry in that imaginary space by delineating a well-defined but invisible hexahedron called the strike zone, with the physical acts of pitching and catching based on mutual repetition and difference.2
Now we're back in the space of the hexahedron we walked in.Come to think of it, this space is not standing between people like a strike zone, but it is actually surrounding us, the people. Unlike baseballs that smoothly pass through an imaginary hexahedron, we are trapped in this real one. I thought for a while that we were like pitchers and catchers, gauging the hexahedron and drawing shapes from a distance, using a baseball as an intermediary. But at this point, I feel as though Mr. P and I are baseballs. The good news is that we can still move around and physically feel the faces of the hexahedron and draw shapes without being thrown around like a ball. But in a region known for its infinitely vast plains, touching and feeling anything is seen as the rudest of insults, or a crude and barbaric approach.3 Do we have to be like the people in that region and draw our geometry from a distance and just by speculation? I am not sure if it is possible for us, standing in this not-so-large and finite hexahedral space.
Now, whatever the circumstances, we must now draw our own shapes within this hexahedral space, not within the confines of a rectangle. Strictly speaking, it's not us; it's Mr. P, the artist, who paints. My role would be to look over the space with him. Even if we don't know the entirety of the shape right away, if we step on the surface of this place and trace some of the shapes, we might start to see the whole big picture that we couldn't get in our minds at once. Of course, it will be in a different way than when we met in a perfect rectangular frame. Furthermore, I hope that Mr. P can move on to another space of possibilities that exists on the other side of this hexahedron. That possibility probably arises from encountering a finite space rather than an infinitely vast plain. After all, only a ball that bounces off a hexahedron and stops somewhere in the ballpark can meet another hexahedron that will reshape it once again.
Respectfully yours,
C
Lim Seokho, Curator
1) See Akasegawa Genpei, Framed History (Tokyo: Chikuma Shobō, 2022).
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ike zone can be found on the “2024 Rules and Rule Changes” page on the KBO website (Accessed May 8, 2024).
https://www.koreabaseball.com/Kbo/League/GameManage2024.aspx
3) See Edwin A. Abbott, Flatland: A Romance of Many Dimensions (London: Seely & Co., 1884).
P 씨에게.
우리는 언젠가부터 한 육면체에 갇힌 신세가 되어버렸습니다. 사각형의 틀에 몰두하여 어떠한 형상을 쫓다 보니 어느새 육면체 내부에 들어와 있었죠. 그렇다고 해서 P 씨와 제가 틀 안의 소실점으로 빨려 들어가는 육면체 속에 갇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몰라도 우리는 실제로 육면체의 공간 바닥에 발을 딛고 서서 손으로는 벽을 더듬는 감각을 공유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P 씨와 제가 한 공간에 대한 각자의 감각을 공유한다고 말하고 나니, 앞서 제가 “육면체에 갇힌 신세”라고 한 말의 모양이 조금 모나게 느껴지네요. 우리가 이 육면체의 공간을 함께 맞닥뜨린 이후에도 여전히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형상을 쫓던 저의 습성이 무의식을 거쳐 모난 모양의 말로 나타난 것일까요?
사각형의 틀에 몰두했다고 말했지만, P 씨가 저에게 설명해 준 형상 자체는 사각형이 아니었습니다. 더 정확히는 어떤 형상을 머릿속에서 이리저리 다듬어 보기 위하여 가상의 사각형 틀을 사용하는 데 몰두했다고 말해야 옳겠네요. P 씨가 하나의 형상을 직접 그려서 저에게 네모난 종이와 모니터 화면으로 눈앞에 보여주었던 때 이전부터 아마 우리 둘 모두는 머릿속에서 사각형의 틀로써 그 형상을 그리고 있었을 것입니다. 왜 상상할 때조차 굳이 사각형의 틀을 통해 형상을 떠올리는 걸까요? 화가인 P 씨에게는 숨 쉬듯 자연스러운 일인가요? 누군가는 사각형이 인간의 머릿속에서 태어난, 인류가 고안해낸 특허품이라고 하더군요. 그는 인간이 소유한 도구(물건)들이 점차 늘어나 이를 여러 줄로 정연히 정리하는 과정에서 공간을 인식하여 사각형을 고안해 냈다고 추정합니다.1 그래서 P 씨처럼 화가가 아닌 저 또한 머릿속에 네모난 틀을 하나쯤은 갖추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우리가 동일한 사각형의 틀로 동일한 형상을 그리고 있다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제가 P 씨의 설명에 근거해 머릿속에 그리던 형상과, P 씨가 나중에 직접 그려서 보여준 형상 사이에는 어딘가 미묘한 어긋남이 존재했습니다. 조금 당황했지만 생각해 보니 이 어긋남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었죠. 하지만 P 씨가 그다음 한 말이 저를 어지럽혔습니다. 당신이 머릿속의 사각형 틀에 그린 형상과 실제 사각형 틀에 손수 그린 형상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고 어긋나는지 이제는 스스로도 더 이상 알 수 없게 되었다고 한 그 이야기 말입니다. 돌이켜 추측해 보건대 우리는 그 시점에 이미 사각형의 틀 앞에서 이 육면체의 공간으로 서서히 이행하고 있었던 듯합니다. 단지 이 공간에 당도하고 나서야 뒤늦게 알아차렸을 뿐이죠.
잠시 다른 시공간을 경유해 보겠습니다. 저는 이 크지 않은 육면체의 공간을 마치 거대한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과 같이 느끼고는 합니다. 어느 평일 저녁 한 야구장 앞 광장에서 경기 관람을 기다리던 저와 다른 곳에 있던 P 씨가 통화한 적이 있었죠. 사각형의 틀과 어떤 형상의 관계에 관해 한참 대화를 나눴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경기 시작이 임박해 급히 대화를 마무리 짓고 야구장 안으로 들어선 저는 두 시간이 훌쩍 넘는 시간 동안 양 팀의 투수와 포수가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의 육면체를 사이에 두고 공을 던지고 잡는 모습을 지켜봤습니다. P 씨와 나눈 대화의 잔상이 머릿속에 남아있어서 그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때 투수와 포수는 스트라이크 존이라는 기준이 명확하지만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육면체를, 피칭(pitching)과 캐칭(catching)이라는 상호 반복과 차이에 기반한 신체 행위로 가늠하여, 그 가상의 공간에 보이지 않는 형상을 그려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2
다시 우리가 밟고 선 육면체의 공간으로 돌아왔습니다. 새삼스럽지만 이 공간은 스트라이크 존처럼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지 않고, 사람인 우리를 둘러싸고 있군요. 가상의 육면체를 통과해 유유히 빠져나가는 야구공과 달리 우리는 이 실존하는 육면체에 갇혀 있습니다. 저는 얼마간 우리가 투수와 포수처럼 거리를 둔 채 야구공을 매개로 육면체를 가늠하고 형상을 그려내는 사람들이라 생각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P 씨와 제가 야구공 그 자체인 기분이 듭니다. 다행인 점은 여전히 우리가 공처럼 던져지지 않고도 스스로 움직여 육면체의 면면을 몸소 감각하고 형상을 그려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무한히 광활한 평원으로 유명한 어느 지역에서는 무엇을 만지고 느끼는 행위를 가장 무례한 모욕으로 여기거나, 조잡하고 야만적인 접근으로 치부하는 시각이 있다고 합니다.3 우리도 그 지역의 사람들처럼 멀리서 바라보고 추측하는 것만으로 형상을 그려야 할까요? 이 크지 않은 유한한 육면체의 공간에 서있는 우리에게 가능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자, 전후 사정이 어찌 되었든 간에 이제 우리는 사각형의 틀이 아니라 이 육면체 공간 안에서 반드시 형상을 그려내야 합니다. 엄밀하게는 우리가 아니라 화가인 P 씨가 그림을 그리고, 저는 이 공간을 P 씨와 함께 살피는 역할을 하겠죠. 당장 형상의 전체를 알 수 없더라도 이곳의 면면을 밟고 더듬어가며 어떤 형상들을 그려 나간다면, 머릿속에서 한 번에 다 그리지 못하던 커다란 전체 형상을 비로소 만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온전한 사각형의 틀로 만나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말입니다. 더 나아가서 저는 P 씨가 이 육면체의 이면에 존재하는 또 다른 가능성의 공간으로 이행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 가능성은 아마 무한히 광활한 평야보다는 유한한 공간과의 만남으로 발생하겠죠. 육면체를 유유히 빠져나가 야구장 어딘가에 멈춰 선 공만이 오직 다시금 새로운 형상을 그려낼 또 다른 육면체와 만날 수 있으니까요.
C로부터.
임석호, 큐레이터
1) 아카세가와 겐페이, 『사각형의 역사』, 김난주 옮김, 안그라픽스, 2016, 70~98쪽 참조.
2) 스트라이크 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KBO(한국야구위원회) 홈페이지의 ‘2024 규정∙규칙 변화’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2024.5.8.).
https://www.koreabaseball.com/Kbo/League/GameManage2024.aspx
3) 에드윈 A. 애보트, 『플랫랜드』, 윤태일 옮김, 늘봄, 2015(1998), 94, 120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