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H Woo Jung’s Works Stop My Steps for Long
Appreciating artworks of HOH Woo Jung leads me to reflect on where pictorial aesthetics stems from. Some of his earlier works I find captivating cross my mind in the wake of the reflection. In 2018, I for the first time went to HOH’s solo exhibition. I remember his white paintings hung on white walls dazzled my eyes. It seems that the straight, curved, and dotted lines drawn with a pencil, and delicate brush strokes of white color made me feel giddy.
HOH said that when he studied in France, he made collages and drawings depicting scenes of the real world. But from 2016, he began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with the combination of various solid figures and with diverse forms made by that. In his sketches for paintings, solid figures are piled in an unbalanced way, looking like they’re about to fall down anytime. The pieces he made through these creative processes - Imagination builds the house(5) (2019), Hard to See (2018), Invisible Reason(2),(4) (2019), Holes for a Flute (2019) – are on display in this exhibition, Panorama. These works appear to present parts of solid figures and parts of simple items (such as a flute) that he dismantled in an intentional way.
At a glance, HOH’s paintings seem to be similar to the decorative and abstract works that post-cubists (artists after Pablo Picasso and Georges Braque) created. After Paul Cezanne advised artists to reduce the images of all landscapes and objects that were scattered here and there in disorder to basic shapes, and the trend of cubism 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he one-point perspective, the art scene saw the explosive increase of aesthetic plasticity, with the pursuit of ideologies gone and only the technique of dissembling subjects left. However, the works HOH later made illustrate that his artistic direction does not only focus on the experiment over seeing things. His pieces feel like whispering about secrets, and seem to tell viewers that if they come closer to them, they could learn hidden secrets. The power of his art attracting viewers to itself does not involve the matter of how he sees and expresses. In this sense, the titles of his pieces seem to imply that the artist’s intention can be visible to someone or invisible to others, like a house built on thought can be thought of as tangible or intangible depending on viewers.
Time flies in front of HOH’s pieces. A combination of various lines in them brings me to a standstill in front of them. But at a moment, I felt that their white backgrounds were not just white-painted bases, but might be the lead of the works. HOH’s fine brushstrokes create a unique atmosphere filling the space among objects, and a coziness combining miscellaneous objects. And the white painted bases – which might be seen painted clumsily – can be regarded as the essence of the works. The brushstrokes in the white layer are more delicate around the pencil lines. Not to touch the lines, he repainted whitish carefully. His appealing pieces make me curious about what creative processes he would have gone through. I am convinced that the hazy whitish base layer he filled carefully is the key element attracting viewers’ eyes.
I have witnessed his creation journey during which he has changed the colors of his work from white to other colors. One day, I saw the color of blue suddenly appear in his pieces. When I encountered his blue works in a gallery, I felt that HOH had entered a new phase of his art. However, I was not surprised at the works because both the colors, white and blue, are deemed as ‘impalpable’ or ‘unreachable’ and harbor a ‘spiritual’ meaning.
But the display of Lines (2024) series in this exhibition at Daejeon Museum of Art is an unexpected scene. The series consists of works on which red, light yellow, yellow, blue, and white are painted, respectively. From a distance, it appears that a brushstroke of about 1 meter is drawn on each of them. But when I took a close look at them, l could see that HOH had drawn a thousand of lines to make the image of a single brushstroke. And in order to make the black brushstrokes stand out, he seems to have painted daring colors on the base layers. These works are also reminiscent of works by other artists. The types of painting that today’s art market prefers are those bringing up the image of metaphysical thought or the realization of Zen Buddhism, like works with a black dot, a black line, or dry brush strokes on their white base. To overseas collectors and curators, they are interpreted as harboring Asian spirituality. And in overseas prestigious galleries and museums, many artists who create works in the styles are holding their solo exhibitions. When I first saw the Lines series from a distance, each work of the series appeared to present a big single brush stroke, but when I took a closer look at them, I could relax myself, saying to myself, “Oh, yes. I knew it.”
HOH’s brushstroke in Lines is not just a brushstroke, but a repetition of pencil lines. It is an extension of geometrical lines in his earlier works. What he did for the Lines series is that he first drew a line looking like swaying in the breeze, and repeated drawing a line numerously. So the resulting work presents the image looking like a big brushstroke. What this series is different from its earlier ones is that it does not show vacillating brushstrokes. It would be because he first decided the colors of the bases and then drew pencil lines on them. The way of displaying the six paintings with daring colors on the bases in a row is so compelling that viewers who step into the exhibition room first head toward it, fixing their eyes on them. Though the works are in line with his earlier ones in terms of material and technique, they reveal that HOH has entered a new phase of creation.
I think I can find clues to predict the creation of Lines in the Curve (2022) series and Circle (2022) series, and that it will allow us to come closer to the artist’s intention. The series Curve and Circle present regular curved lines that appear to be part of a big circle drawn with a pair of compasses. As we can see in the exhibition, the four pieces of Circle are hung on the wall to be visible as a big circle. But HOH did not put together the works tightly, but gave a space between them. This means that the display method makes viewers imagine the invisible line of a circle that goes past the space between the works. Viewers who see the series are led to complete the series by drawing an invisible line past the space between the works in their mind. In this sense, it is not that only the works hold a circle. The works of the Circle series clearly reveal that HOH intended to make the space outside the works to be part of his work. The big brushstroke formed with numerous pencil lines, too, causes their works to be expanded further in all directions.
HOH’s work seems to visualize an invisible power of the world. Or HOH may want to illustrate that the power of a canvas invades the real world. Whichever way he tried to create, his intention appears to deny the inborn role of a canvas as a window. It is an old belief that the frame of a picture plays the role of a window showing a scene that viewers can’t see in their present time and space. When we see paintings depicting beautiful objects and landscapes, mythological characters, and historical events, we only focus on the works, without turning our eyes to the walls outside them. But HOH’s works try to break our stereotyped perception of appreciating artworks. One of the examples is that the canvases in the Circle (2022) series are just part of a bigger world. To complete the circle on the canvases, viewers have to imagine the line of a circle rushing past the space between the canvases. This causes the brushstroke-like pencil lines to look like the extension of a longer line. In the past, too, some artists made artworks into which they drew the real world. Paintings in trompe l’oeil style also were made for the purpose, as well as kinetic artworks moving in exhibition halls, minimalist sculptures standing on the floor without pedestals, and installation works that viewers can touch. What HOH’s works look different from those works is that they bring the areas outside them into their artistic territory. This implies that they trigger to expand viewers’ perception of artworks. If you gaze at the numerous pencil lines for long, you will find yourself recalling the lines HOH has drawn in his different series. Like his earlier white abstract works, these works catch our attention for long.
This is the common virtue of HOH’s pieces. And they bear more significanc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days, it is hard for artworks to catch viewers’ eyes even for a short moment. Many visual images we encounter in our daily lives are provocative and incendiary. On the contrary to this trend, HOH’s pieces seem to keep a quiet tone and have a hidden inner power to enable viewers to identify their lines one by one. They encourage viewers to explore their abstraction and mysterious aspects from a close and far distance. And they demonstrate that HOH’s work has got into a new stage of creation, which is why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future direction of his work.
LEE Yoonhee, Art Critic
허우중의 작품 앞에서 발걸음이 오래 멈추다
허우중 작가의 작품 앞에서 새삼 회화적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를 돌이켜 보게 된다. 지난 시간 속에서 발걸음을 뗄 수 없었던 여러 작품들이 스쳐 지나간다. 2018년에 처음 보았던 그의 개인전에서 하얀 벽면에 하얀 그림들이 걸려 있어 갑자기 눈이 부시게 느껴졌던 일도 기억난다. 작품에 가까이 다가서면 연필로 그은 곡선, 직선, 점선과 세심한 붓질을 통해 채색된 흰색이 살짝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것 같기도 했다.
프랑스 유학 시절에는 현실과 관계있는 장면들의 콜라주와 드로잉을 했다던 작가는 2016년부터 각종 입체 도형의 조합과 그것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감각을 실험하기 시작했다. 작품을 위한 에스키스에서는 쌓아 올려진 도형들이 곧 무너질 것 같은 모습으로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었다. 그런 과정을 거쳐 제작된 작품들이 이번 전시에 출품된 〈사恖상누각(5)〉(2019), 〈보기 힘든〉(2018), 〈보이지 않는 이유(2), (4)〉(2019), 〈피리 구멍〉(2019)과 같은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그가 고안한 도형들과 피리 같은 단순하게 생긴 사물들의 부분 부분을 해체해 조심스럽게 늘어놓은 것처럼 보인다.
사실 첫눈에 이러한 허우중 화면의 특성은 피카소와 브라크 이후 후기 입체파 화가들이 장식적으로, 혹은 더 추상화시켜 밀어붙였던 경향과 유사해 보였다. 무질서하게 펼쳐져 있는 온갖 풍경과 사물들을 기본형으로 환원해서 보라는 세잔의 조언과 일점투시법의 와해로 이루어졌던 입체주의 이후, 이념은 사라지고 대상 분해의 기법만 남아 오히려 미적 조형성의 폭발이 이루어졌던 이후 시기의 경향들 말이다. 하지만 허우중 작가가 제작한 그 이후의 작품들과 연결해 보았을 때 그의 방향은 단지 본다는 것에 대한 실험이 아닌 것으로 보였다. 마치 비밀을 속삭이는 것처럼, 더 집중하면 숨겨진 진실을 알 수 있다는 듯이, 가까이, 더 가까이 다가가게 이끄는 힘은, 단지 어떻게 보고 표현하느냐의 문제는 아닌 것이다. 허우중이 작품에 붙인 제목들 역시, 생각 위에 집을 지으니 그것은 보기 어렵고 안 보이는 듯도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보일 수도 있다는 말이 아닌가.
그의 작품 앞에서 시간이 지나간다. 작품 안에서 이러한 선과 저러한 선이 조합되어 종합적인 구성을 이루어 나감을 본다. 그리고 내내 배경으로만 보였던 흰 면이 단지 희게 칠한 면이 아니라 작품의 전적인 주인공일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다. 사물들 사이의 공간과 그 안을 채운 공기, 그리고 잡다한 사물들을 통합해 앉히는 아늑함은 미세한 붓질에서 온다. 마치 익숙지 않다는 듯이, 어리숙하게 칠해진 흰 면은 배경이라기보다는 그림의 본질이다. 흰 캔버스에 칠해진 흰 면의 붓질은 연필 선 주위로 더욱 섬세해지는데, 선을 건드리지 않고 지나가기 위해 더 조심하기도 하고 덧칠이 되기도 한다. 작가가 작품을 제작하면서 보낸 시간을 상상하며, 붓질로 정성스럽게 채워진, 그럼에도 완전히 하얗지는 않고 얼룩덜룩한 바닥 면이 작품 앞의 발걸음을 사로잡는 실체라는 확신이 생긴다.
흰색을 기본으로 하여 다른 색채들이 조심스럽게 들어오다가, 갑자기 푸른 면이 나타났다. 어느 화랑의 윈도우 갤러리에서 그의 푸른 색 작품을 보고 무엇인지 새로운 국면이 펼쳐지는 것인가 싶었지만, 흰색이나 푸른색이나 모두 ‘잡을 수 없는’ 혹은 ‘닿을 수 없는’ 그리고 ‘정신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그리 놀랍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 대전시립미술관의 전시에서 선보인 〈선들〉(2024) 연작은 생각지도 못했던 광경이었다. 붉은색과 노르스름한 색과 노란색, 푸른색과 흰색 면 위에 1미터쯤 되어 보이는 일필휘지의 붓질이 한 획씩 그어져 있기 때문이었다. 멀리서 작품을 바라보고 가까이 다가가, 아, 한 번에 큰 붓질을 했을 리가, 선들이 천 번 겹쳐 하나의 붓질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았다. 과감한 바탕색은 검은 붓질을 더욱 생생하게 만든다. 그리고 다른 여러 작가들을 연상케 하기도 했다. 검은 점 하나, 검은 붓질 하나, 혹은 갈필의 붓질들을 흰 캔버스에 담아 형이상학적 사유의 흔적을, 혹은 선불교적인 깨달음의 자취를 ‘연상’시키는 유형의 그림들이 요즘의 미술시장에서는 가장 선호된다. 해외 컬렉터와 큐레이터들에게도 동양적이고 정신적인 세계를 담은 작품들로 해석되며 굵직한 해외기관에서의 개인전이 줄을 잇기도 한다. 멀리서 보았을 때 커다란 일획의 붓질이니, 혹시 하며 다가갔던 허우중의 그림 앞에서 ‘그럼 그렇지’하며 왠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허우중의 붓질은 붓질이 아니라 연필들을 반복해서 그은 흔적이었다. 이전 작품에서 기하학적인 선들을 캔버스에 그었던 것과 달리 연필 선들의 연장 속에서 나온 작품이다. 다만 그는 이번에는 기하학적인 선이 아니라 마치 바람에 흔들리는 것과도 같은 선을 하나 긋고, 그 선을 무수히 반복해 그림으로써 커다란 붓질과 같은 효과를 낸 것이었다. 이전과 달라진 점이라면 바탕색을 먼저 결정하고 그 위에 연필 선이 그어져서 더 이상 망설이는 붓질들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 정도이다. 과감한 색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이 여섯 점 줄지어 걸려 있는 연출은 꽤 강력하여, 주변의 많은 작품들을 제치고 그 작품들로 직진하는 관객들이 눈에 들어왔다. 허우중의 작품은 이전 작품들과 재료와 방법에 있어서 연계성을 갖지만, 분명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였다.
이 작품의 이전 작품들, 예컨대 〈Curve〉(2022)와 〈Circle〉(2022) 연작에서 〈선들〉에 대한 단서를 찾아본다면, 한 걸음 더 작가의 의도에 다가갈 수 있으리라. 〈Curve〉와 〈Circle〉은 정형적인 곡선들이 단일하게 그어진 작품들이다. 마치 컴퍼스를 이용한 것처럼 커다란 원의 일부로 보이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Circle〉은 바로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네 점의 캔버스를 모아 아래위로 설치하면 커다란 원형이 드러난다. 하지만 네 개의 캔버스를 딱 붙여서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그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떼어야 큰 원이 생겨난다. 그것은 캔버스와 캔버스 사이의 공간에도 보이지 않는 원이 지나간다는 말이다. 그 작품을 보는 감상자들은 무의식적으로 캔버스 사이의 빈 공간에 원의 나머지를 그려 기어코 동그라미를 완성하고 만다. 캔버스 안에만 작품이 담기는 것이 아니라 실제 세계로 뻗어나가 주변의 공간까지도 작품의 일부가 되게 하려는 작가의 의도는 이 작품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커다란 붓질, 아니 무수히 그은 연필 선을 담은 캔버스 역시 아래위로 더 확장되어 보이는 효과를 낳는다.
실제 세계가 가지고 있는 보이지 않는 어떤 힘을 가시화시킨 것 같기도 하고, 캔버스가 가진 힘이 공간을 침범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어느 쪽이라도, 이러한 시도는 캔버스가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창문’으로서의 역할을 부정하는 것이기는 하다. 그림의 프레임이 현 공간과 시간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장면을 보여주는 창으로 역할한다는 것은 오랜 믿음이다. 아름다운 정물과 풍경, 그리고 고사와 신화 등을 그린 그림을 볼 때, 그림 주변의 벽까지 눈에 담아서는 감상을 할 수가 없다. 하지만 허우중의 작품들은 그런 우리의 당연한 인식을 확장시키려고 한다. 이 작품들이 보여주는 캔버스 면은 더 큰 세계의 일면일 뿐, 그래서 원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사이의 공간을 이어야 하고, 커다란 붓질 같은 연필 선들은 더 길게 이어진 긴 선의 연장처럼 보이는 것이다.
실제 세계를 끌어들이는 미술작품은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트롱프뢰이유(trompe l’oeil)를 이용하는 작품들도 사실은 그러한 목적이고, 실제 공간과 시간 속에서 움직이는 키네틱 작품들도 물론이거니와, 좌대를 없애고 관객이 선 바닥에 같이 서 있는 많은 미니멀리즘 조각들, 관객이 참여하는 유형의 설치 작품들 역시 그러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과 허우중 작가의 작품이 달라 보이는 이유는, 캔버스를 중심으로 하지만 캔버스를 초월하는 영역을 미리 상정한다는 것이고 그것은 미묘한 지각의 확장을 이끌어 들인다는 점이다. 무수히 반복적으로 그어진 연필 선들을 오래 바라보고 있노라면 무한하게 확장되어 이어지는 이전과 이후의 선들을 연상하게 된다. 그래서 이 작품들 역시 이전의 흰 추상작업들 못지않게 발걸음을 떼기가 어렵다.
이는 허우중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공통적인 미덕이다. 한 작품을 바라볼 때 오래 시선을 붙들어 놓는 것, 그것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대가 오늘이 아니던가. 요즈음의 삶 속에서 제공되는 대개의 시각적인 요소들은 자극적이고 선명하다. 그에 비해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 같은 그의 작품 앞에서는 연필 선 한 줄 한 줄을 따라가며 시선이 가고, 멀리서 보고 가까이 다가가서 보는, 추상이 처음 등장했을 때 가졌던 마음, 신비한 정체를 탐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는 것이다. 그것이 새로운 국면으로 막 접어든 것처럼 보이는 그의 작품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더욱 주목되는 이유이다.
이윤희, 미술비평가
Appreciating artworks of HOH Woo Jung leads me to reflect on where pictorial aesthetics stems from. Some of his earlier works I find captivating cross my mind in the wake of the reflection. In 2018, I for the first time went to HOH’s solo exhibition. I remember his white paintings hung on white walls dazzled my eyes. It seems that the straight, curved, and dotted lines drawn with a pencil, and delicate brush strokes of white color made me feel giddy.
HOH said that when he studied in France, he made collages and drawings depicting scenes of the real world. But from 2016, he began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with the combination of various solid figures and with diverse forms made by that. In his sketches for paintings, solid figures are piled in an unbalanced way, looking like they’re about to fall down anytime. The pieces he made through these creative processes - Imagination builds the house(5) (2019), Hard to See (2018), Invisible Reason(2),(4) (2019), Holes for a Flute (2019) – are on display in this exhibition, Panorama. These works appear to present parts of solid figures and parts of simple items (such as a flute) that he dismantled in an intentional way.
At a glance, HOH’s paintings seem to be similar to the decorative and abstract works that post-cubists (artists after Pablo Picasso and Georges Braque) created. After Paul Cezanne advised artists to reduce the images of all landscapes and objects that were scattered here and there in disorder to basic shapes, and the trend of cubism 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he one-point perspective, the art scene saw the explosive increase of aesthetic plasticity, with the pursuit of ideologies gone and only the technique of dissembling subjects left. However, the works HOH later made illustrate that his artistic direction does not only focus on the experiment over seeing things. His pieces feel like whispering about secrets, and seem to tell viewers that if they come closer to them, they could learn hidden secrets. The power of his art attracting viewers to itself does not involve the matter of how he sees and expresses. In this sense, the titles of his pieces seem to imply that the artist’s intention can be visible to someone or invisible to others, like a house built on thought can be thought of as tangible or intangible depending on viewers.
Time flies in front of HOH’s pieces. A combination of various lines in them brings me to a standstill in front of them. But at a moment, I felt that their white backgrounds were not just white-painted bases, but might be the lead of the works. HOH’s fine brushstrokes create a unique atmosphere filling the space among objects, and a coziness combining miscellaneous objects. And the white painted bases – which might be seen painted clumsily – can be regarded as the essence of the works. The brushstrokes in the white layer are more delicate around the pencil lines. Not to touch the lines, he repainted whitish carefully. His appealing pieces make me curious about what creative processes he would have gone through. I am convinced that the hazy whitish base layer he filled carefully is the key element attracting viewers’ eyes.
I have witnessed his creation journey during which he has changed the colors of his work from white to other colors. One day, I saw the color of blue suddenly appear in his pieces. When I encountered his blue works in a gallery, I felt that HOH had entered a new phase of his art. However, I was not surprised at the works because both the colors, white and blue, are deemed as ‘impalpable’ or ‘unreachable’ and harbor a ‘spiritual’ meaning.
But the display of Lines (2024) series in this exhibition at Daejeon Museum of Art is an unexpected scene. The series consists of works on which red, light yellow, yellow, blue, and white are painted, respectively. From a distance, it appears that a brushstroke of about 1 meter is drawn on each of them. But when I took a close look at them, l could see that HOH had drawn a thousand of lines to make the image of a single brushstroke. And in order to make the black brushstrokes stand out, he seems to have painted daring colors on the base layers. These works are also reminiscent of works by other artists. The types of painting that today’s art market prefers are those bringing up the image of metaphysical thought or the realization of Zen Buddhism, like works with a black dot, a black line, or dry brush strokes on their white base. To overseas collectors and curators, they are interpreted as harboring Asian spirituality. And in overseas prestigious galleries and museums, many artists who create works in the styles are holding their solo exhibitions. When I first saw the Lines series from a distance, each work of the series appeared to present a big single brush stroke, but when I took a closer look at them, I could relax myself, saying to myself, “Oh, yes. I knew it.”
HOH’s brushstroke in Lines is not just a brushstroke, but a repetition of pencil lines. It is an extension of geometrical lines in his earlier works. What he did for the Lines series is that he first drew a line looking like swaying in the breeze, and repeated drawing a line numerously. So the resulting work presents the image looking like a big brushstroke. What this series is different from its earlier ones is that it does not show vacillating brushstrokes. It would be because he first decided the colors of the bases and then drew pencil lines on them. The way of displaying the six paintings with daring colors on the bases in a row is so compelling that viewers who step into the exhibition room first head toward it, fixing their eyes on them. Though the works are in line with his earlier ones in terms of material and technique, they reveal that HOH has entered a new phase of creation.
I think I can find clues to predict the creation of Lines in the Curve (2022) series and Circle (2022) series, and that it will allow us to come closer to the artist’s intention. The series Curve and Circle present regular curved lines that appear to be part of a big circle drawn with a pair of compasses. As we can see in the exhibition, the four pieces of Circle are hung on the wall to be visible as a big circle. But HOH did not put together the works tightly, but gave a space between them. This means that the display method makes viewers imagine the invisible line of a circle that goes past the space between the works. Viewers who see the series are led to complete the series by drawing an invisible line past the space between the works in their mind. In this sense, it is not that only the works hold a circle. The works of the Circle series clearly reveal that HOH intended to make the space outside the works to be part of his work. The big brushstroke formed with numerous pencil lines, too, causes their works to be expanded further in all directions.
HOH’s work seems to visualize an invisible power of the world. Or HOH may want to illustrate that the power of a canvas invades the real world. Whichever way he tried to create, his intention appears to deny the inborn role of a canvas as a window. It is an old belief that the frame of a picture plays the role of a window showing a scene that viewers can’t see in their present time and space. When we see paintings depicting beautiful objects and landscapes, mythological characters, and historical events, we only focus on the works, without turning our eyes to the walls outside them. But HOH’s works try to break our stereotyped perception of appreciating artworks. One of the examples is that the canvases in the Circle (2022) series are just part of a bigger world. To complete the circle on the canvases, viewers have to imagine the line of a circle rushing past the space between the canvases. This causes the brushstroke-like pencil lines to look like the extension of a longer line. In the past, too, some artists made artworks into which they drew the real world. Paintings in trompe l’oeil style also were made for the purpose, as well as kinetic artworks moving in exhibition halls, minimalist sculptures standing on the floor without pedestals, and installation works that viewers can touch. What HOH’s works look different from those works is that they bring the areas outside them into their artistic territory. This implies that they trigger to expand viewers’ perception of artworks. If you gaze at the numerous pencil lines for long, you will find yourself recalling the lines HOH has drawn in his different series. Like his earlier white abstract works, these works catch our attention for long.
This is the common virtue of HOH’s pieces. And they bear more significanc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days, it is hard for artworks to catch viewers’ eyes even for a short moment. Many visual images we encounter in our daily lives are provocative and incendiary. On the contrary to this trend, HOH’s pieces seem to keep a quiet tone and have a hidden inner power to enable viewers to identify their lines one by one. They encourage viewers to explore their abstraction and mysterious aspects from a close and far distance. And they demonstrate that HOH’s work has got into a new stage of creation, which is why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future direction of his work.
LEE Yoonhee, Art Critic
허우중의 작품 앞에서 발걸음이 오래 멈추다
허우중 작가의 작품 앞에서 새삼 회화적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를 돌이켜 보게 된다. 지난 시간 속에서 발걸음을 뗄 수 없었던 여러 작품들이 스쳐 지나간다. 2018년에 처음 보았던 그의 개인전에서 하얀 벽면에 하얀 그림들이 걸려 있어 갑자기 눈이 부시게 느껴졌던 일도 기억난다. 작품에 가까이 다가서면 연필로 그은 곡선, 직선, 점선과 세심한 붓질을 통해 채색된 흰색이 살짝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것 같기도 했다.
프랑스 유학 시절에는 현실과 관계있는 장면들의 콜라주와 드로잉을 했다던 작가는 2016년부터 각종 입체 도형의 조합과 그것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감각을 실험하기 시작했다. 작품을 위한 에스키스에서는 쌓아 올려진 도형들이 곧 무너질 것 같은 모습으로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었다. 그런 과정을 거쳐 제작된 작품들이 이번 전시에 출품된 〈사恖상누각(5)〉(2019), 〈보기 힘든〉(2018), 〈보이지 않는 이유(2), (4)〉(2019), 〈피리 구멍〉(2019)과 같은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그가 고안한 도형들과 피리 같은 단순하게 생긴 사물들의 부분 부분을 해체해 조심스럽게 늘어놓은 것처럼 보인다.
사실 첫눈에 이러한 허우중 화면의 특성은 피카소와 브라크 이후 후기 입체파 화가들이 장식적으로, 혹은 더 추상화시켜 밀어붙였던 경향과 유사해 보였다. 무질서하게 펼쳐져 있는 온갖 풍경과 사물들을 기본형으로 환원해서 보라는 세잔의 조언과 일점투시법의 와해로 이루어졌던 입체주의 이후, 이념은 사라지고 대상 분해의 기법만 남아 오히려 미적 조형성의 폭발이 이루어졌던 이후 시기의 경향들 말이다. 하지만 허우중 작가가 제작한 그 이후의 작품들과 연결해 보았을 때 그의 방향은 단지 본다는 것에 대한 실험이 아닌 것으로 보였다. 마치 비밀을 속삭이는 것처럼, 더 집중하면 숨겨진 진실을 알 수 있다는 듯이, 가까이, 더 가까이 다가가게 이끄는 힘은, 단지 어떻게 보고 표현하느냐의 문제는 아닌 것이다. 허우중이 작품에 붙인 제목들 역시, 생각 위에 집을 지으니 그것은 보기 어렵고 안 보이는 듯도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보일 수도 있다는 말이 아닌가.
그의 작품 앞에서 시간이 지나간다. 작품 안에서 이러한 선과 저러한 선이 조합되어 종합적인 구성을 이루어 나감을 본다. 그리고 내내 배경으로만 보였던 흰 면이 단지 희게 칠한 면이 아니라 작품의 전적인 주인공일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다. 사물들 사이의 공간과 그 안을 채운 공기, 그리고 잡다한 사물들을 통합해 앉히는 아늑함은 미세한 붓질에서 온다. 마치 익숙지 않다는 듯이, 어리숙하게 칠해진 흰 면은 배경이라기보다는 그림의 본질이다. 흰 캔버스에 칠해진 흰 면의 붓질은 연필 선 주위로 더욱 섬세해지는데, 선을 건드리지 않고 지나가기 위해 더 조심하기도 하고 덧칠이 되기도 한다. 작가가 작품을 제작하면서 보낸 시간을 상상하며, 붓질로 정성스럽게 채워진, 그럼에도 완전히 하얗지는 않고 얼룩덜룩한 바닥 면이 작품 앞의 발걸음을 사로잡는 실체라는 확신이 생긴다.
흰색을 기본으로 하여 다른 색채들이 조심스럽게 들어오다가, 갑자기 푸른 면이 나타났다. 어느 화랑의 윈도우 갤러리에서 그의 푸른 색 작품을 보고 무엇인지 새로운 국면이 펼쳐지는 것인가 싶었지만, 흰색이나 푸른색이나 모두 ‘잡을 수 없는’ 혹은 ‘닿을 수 없는’ 그리고 ‘정신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그리 놀랍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 대전시립미술관의 전시에서 선보인 〈선들〉(2024) 연작은 생각지도 못했던 광경이었다. 붉은색과 노르스름한 색과 노란색, 푸른색과 흰색 면 위에 1미터쯤 되어 보이는 일필휘지의 붓질이 한 획씩 그어져 있기 때문이었다. 멀리서 작품을 바라보고 가까이 다가가, 아, 한 번에 큰 붓질을 했을 리가, 선들이 천 번 겹쳐 하나의 붓질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았다. 과감한 바탕색은 검은 붓질을 더욱 생생하게 만든다. 그리고 다른 여러 작가들을 연상케 하기도 했다. 검은 점 하나, 검은 붓질 하나, 혹은 갈필의 붓질들을 흰 캔버스에 담아 형이상학적 사유의 흔적을, 혹은 선불교적인 깨달음의 자취를 ‘연상’시키는 유형의 그림들이 요즘의 미술시장에서는 가장 선호된다. 해외 컬렉터와 큐레이터들에게도 동양적이고 정신적인 세계를 담은 작품들로 해석되며 굵직한 해외기관에서의 개인전이 줄을 잇기도 한다. 멀리서 보았을 때 커다란 일획의 붓질이니, 혹시 하며 다가갔던 허우중의 그림 앞에서 ‘그럼 그렇지’하며 왠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허우중의 붓질은 붓질이 아니라 연필들을 반복해서 그은 흔적이었다. 이전 작품에서 기하학적인 선들을 캔버스에 그었던 것과 달리 연필 선들의 연장 속에서 나온 작품이다. 다만 그는 이번에는 기하학적인 선이 아니라 마치 바람에 흔들리는 것과도 같은 선을 하나 긋고, 그 선을 무수히 반복해 그림으로써 커다란 붓질과 같은 효과를 낸 것이었다. 이전과 달라진 점이라면 바탕색을 먼저 결정하고 그 위에 연필 선이 그어져서 더 이상 망설이는 붓질들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 정도이다. 과감한 색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이 여섯 점 줄지어 걸려 있는 연출은 꽤 강력하여, 주변의 많은 작품들을 제치고 그 작품들로 직진하는 관객들이 눈에 들어왔다. 허우중의 작품은 이전 작품들과 재료와 방법에 있어서 연계성을 갖지만, 분명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였다.
이 작품의 이전 작품들, 예컨대 〈Curve〉(2022)와 〈Circle〉(2022) 연작에서 〈선들〉에 대한 단서를 찾아본다면, 한 걸음 더 작가의 의도에 다가갈 수 있으리라. 〈Curve〉와 〈Circle〉은 정형적인 곡선들이 단일하게 그어진 작품들이다. 마치 컴퍼스를 이용한 것처럼 커다란 원의 일부로 보이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Circle〉은 바로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네 점의 캔버스를 모아 아래위로 설치하면 커다란 원형이 드러난다. 하지만 네 개의 캔버스를 딱 붙여서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그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떼어야 큰 원이 생겨난다. 그것은 캔버스와 캔버스 사이의 공간에도 보이지 않는 원이 지나간다는 말이다. 그 작품을 보는 감상자들은 무의식적으로 캔버스 사이의 빈 공간에 원의 나머지를 그려 기어코 동그라미를 완성하고 만다. 캔버스 안에만 작품이 담기는 것이 아니라 실제 세계로 뻗어나가 주변의 공간까지도 작품의 일부가 되게 하려는 작가의 의도는 이 작품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커다란 붓질, 아니 무수히 그은 연필 선을 담은 캔버스 역시 아래위로 더 확장되어 보이는 효과를 낳는다.
실제 세계가 가지고 있는 보이지 않는 어떤 힘을 가시화시킨 것 같기도 하고, 캔버스가 가진 힘이 공간을 침범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어느 쪽이라도, 이러한 시도는 캔버스가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창문’으로서의 역할을 부정하는 것이기는 하다. 그림의 프레임이 현 공간과 시간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장면을 보여주는 창으로 역할한다는 것은 오랜 믿음이다. 아름다운 정물과 풍경, 그리고 고사와 신화 등을 그린 그림을 볼 때, 그림 주변의 벽까지 눈에 담아서는 감상을 할 수가 없다. 하지만 허우중의 작품들은 그런 우리의 당연한 인식을 확장시키려고 한다. 이 작품들이 보여주는 캔버스 면은 더 큰 세계의 일면일 뿐, 그래서 원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사이의 공간을 이어야 하고, 커다란 붓질 같은 연필 선들은 더 길게 이어진 긴 선의 연장처럼 보이는 것이다.
실제 세계를 끌어들이는 미술작품은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트롱프뢰이유(trompe l’oeil)를 이용하는 작품들도 사실은 그러한 목적이고, 실제 공간과 시간 속에서 움직이는 키네틱 작품들도 물론이거니와, 좌대를 없애고 관객이 선 바닥에 같이 서 있는 많은 미니멀리즘 조각들, 관객이 참여하는 유형의 설치 작품들 역시 그러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과 허우중 작가의 작품이 달라 보이는 이유는, 캔버스를 중심으로 하지만 캔버스를 초월하는 영역을 미리 상정한다는 것이고 그것은 미묘한 지각의 확장을 이끌어 들인다는 점이다. 무수히 반복적으로 그어진 연필 선들을 오래 바라보고 있노라면 무한하게 확장되어 이어지는 이전과 이후의 선들을 연상하게 된다. 그래서 이 작품들 역시 이전의 흰 추상작업들 못지않게 발걸음을 떼기가 어렵다.
이는 허우중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공통적인 미덕이다. 한 작품을 바라볼 때 오래 시선을 붙들어 놓는 것, 그것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대가 오늘이 아니던가. 요즈음의 삶 속에서 제공되는 대개의 시각적인 요소들은 자극적이고 선명하다. 그에 비해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 같은 그의 작품 앞에서는 연필 선 한 줄 한 줄을 따라가며 시선이 가고, 멀리서 보고 가까이 다가가서 보는, 추상이 처음 등장했을 때 가졌던 마음, 신비한 정체를 탐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는 것이다. 그것이 새로운 국면으로 막 접어든 것처럼 보이는 그의 작품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더욱 주목되는 이유이다.
이윤희, 미술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