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ighty gestures, familiar sublimity
There is an artist, who titles his work 'Like My Scale and Your Scale Cannot Be the Same' and discusses 'Spiritual Attitude' after passing by 'Tower of Notion' Then he finally presents his works under the sentence 'From Saturday to Friday'. This is Hoh Woo Jung. Behind his serious and taciturn appearance, his mind is busy turning "wheel of thoughts". He is not interested in packaging himself or acting with self-conceit. He even ponders over what can happen in the future or what can might not happen, and only concentrates on what he has to do in silence.
He, who usually uses black or white and draws delicate lines, answers that "color sense in abundan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asked what the most crucial thing is to control colors and complete the canvas. His works consist in images created while arbitrary conditions of his own are given in the virtual form. He believes that black and white, to be exact, "delicate" black and white are the most appropriate ones to express figures existent in his conception.
The exhibition 《Social fiction》 I saw for the first time mainly consisted of black and is full of empty houses, suicide, mazes, communications (or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His painting seems to illuminate problems, great and small, which are spread in every corner of today's people, through the virtual world. His work sometimes shows a collapsing world yet still giving some expectation, sometimes it seems to be energyless yet with some fierce power enough to defeat reality some day. His cartoon-like painting evaporates melancholy into reverie leaving some hint of hope instead.
When Hoh Woo Jung was studying in France, he felt the thirst for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he began to focus on the Korean society, which was physically far though. The issues and problems of his homeland, which are superficially approached in a foreign country were recognized in an abstract manner, and the vague impression was faithfully reflected in <Social Fiction>. The changes he went through after coming back to Korea are naturally permeated in hi works. Instead of looking for the cause of anxiety from social phenomena, he sought it from cognition itself. This unique standard of the artist brought a conspicuously different nuance in his works. With this veiled tinge, works including <Spiritual Attitude> on a milky canvas was displayed.
While deep and gloomy narratives were created in a thin screen in <Social Fiction> the works posterior to <Spiritual Attitude> show profound hues in general. This question was asked to him, "What do you think i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He answered: "For the works of <Social Fiction> the social issues of the tim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creating narratives. Instead of focusing on the sense of depth of the scree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themes with extreme social contrast, I created the screen by giving clear black-white contrast to a variety of figurations. While <Social Fiction> intended to express the feeling of anxiety caused by social phenomena, the works of <Spiritual Attitude> conveyed the feeling of anxiety through lines and sides by alluding to virtual configurations. These virtual configurations are the simplified works of many figures and objects, which were piled up with physically impossible approaches in the series of <Tower of Notion> prior to <Spiritual Attitude> The simplification process advances while giving certain conditions to figures. The figures become extremely thin, even thinner than a sheet of paper, and the virtual light is shining all figures from a fixed direction. The complete aspect of a figure can be speculated only with the line expressing shadow. We can only guess the shape but we fail to see the complete aspect. However, what is not visible does not mean its non-existence. For this reason, apart from lines, the background, sides started to give importance in my works. I thought this was not a mere white backdrop but a hint to something which is not commonly visible, so I reflected this in my works".
He selects an object to draw by repeating and intensifying specific sketches while prioritizing "visual beauty" in all works. After painting the background color, he moves the sketch to the canvas. Later, after adjusting and correcting, he completes the screen by coloring white in the end. Here, Hoh Woo Jung pays special attention to paint-oil concentration and size of brush, in particular, the white background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exture of brush touches. This could be the reason then. His white color is closer to a sort of membrane than a mere color. It feels like a thin wrapping layer for fear of being broken or leaked. What could be the thing he wishes to protect by delimiting?
The white color neatly spreaded by the artist is a sort of shadow meaning another existence. Also, as a color of infinite creation of significance, it helps the invisible thing to be visible and the glow leads us to imagination. The images appeared in his works possess the potential beyond the familiar sphere. The organic images with heterogeneous gestures are interconnected with geometric figures through which we are invited to know after seeing and not see what we know. The configurations discovered in his painting are not only "symbolic images" but also an existence reflecting the artist's "image-based ego". The reflection of such elements is visually appeared.
For Hoh Woo Jung stating that "I would like to keep carrying out my work in search of unknown balance and harmony inherent in the feeling of anxiety derived from awareness of the absurd" the act of "drawing" is a process of binding himself. This inescapable reason which makes him keep drawing is this extreme pleasure obtained by the moment of concentrating on the act of drawing. By the way, this seems to be undeniable that he will never escape from it.
Jung Il Joo, Chief editor of PUBLIC ART
묵직한 제스처, 친밀한 숭고
‘나의 저울과 너의 저울이 같을 수 없는 것처럼’이란 작품 제목을 짓고, ‘관념의 탑’을 지나 ‘정신적 태도’를 논하더니 어느새 ‘토요일부터 금요일까지’란 문장으로 자신의 작품들을 소개하는 이가 있다. 작가 허우중이다. 겉모습은 진중하고 과묵하되 속으로는 생각의 수레를 끊임없이 돌리는 그는, 결코 자신을 포장하거나 자신하지 않는다. 앞으로 벌어지거나 혹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일까지 깊이 생각하며 묵묵히 자신이 해야 할 일에만 집중한다.
검은색 혹은 흰색을 사용하고 아주 미묘한 선을 긋는 그에게, 색을 절제하고 화면을 완성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지 묻자 “오히려 풍부한 색감이 가장 중요하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그의 작업은 가상의 형태에 제 임의대로 조건을 부여하며 만드는 이미지들이다. 그리고 제 관념 속에 존재하는 형상을 표현하는 데는 검은색과 흰색, 정확히는 ‘미묘한’ 검은색과 흰색이 가장 적합하다고 작가는 생각한다.
처음 본 그의 전시 《소셜픽션》은 검은색이 주를 이뤘고 빈집과 자살, 미로, 대화(혹은 불통)들로 점철돼 있었다. 현대인 주변에 포진한 크고 작은 문젯거리를 가상 세계에 비춘 듯한 그의 화면은, 몰락하는 세계를 보여주면서도 어쩐지 기대를 품게 하고 비참한 상황에 한없이 무기력한 것 같으면서도 언젠가 그 현실을 무찌를 것 같았다. 만화 같은 그의 화면은 실존하는 우울을 몽상으로 기화시키며 되레 희망을 남긴 것이다.
유학 중, 프랑스라는 사회와 소통의 갈증을 느낀 작가는 물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진 한국 사회에 오히려 집중했다. 타국에서 피상적으로 접하는 우리 사회적 쟁점과 문제들은 추상적으로 인식됐고 그 모호한 인상이 고스란히 반영된 작품이 바로 <소셜픽션>이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작가가 겪은 변화는 자연스럽게 작업에 녹아들었다. 불안의 원인을 사회 현상에서 찾기보다 인식 그 자체에서 찾는 허우중의 잣대로 인해 작업의 뉘앙스는 눈에 띄게 달라졌다. 그렇게 베일에 싸인 듯 뽀얀 화면의 <정신적 태도> 등이 선보였다.
“<소셜픽션>에서 깊고 우울한 내러티브를 얇은 화면으로 만들었다면, <정신적 태도> 이후의 작업들은 화면 자체가 매우 깊어졌다. 작가 스스로 두 작업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허우중에게 물었다. “<소셜픽션>의 작업들은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당시의 사회적 이슈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우리 사회의 명암이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주제들에 관심을 갖고 화면의 깊이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여러 형상들에 흑백의 뚜렷한 대비를 주어 화면을 만들었다. <소셜픽션>이 사회 현상에서 유발된 불안의 감정을 풀어내고자 하였다면 <정신적 태도>의 작업들은 불안의 감정을 가상의 형상에 빗대어 선과 면으로써 표현한 것이다. 이 가상의 형상은 <정신적 태도> 이전의 <관념의 탑>시리즈에서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쌓아 올린 여러 도형과 오브제들을 더욱 단순화한 것이다. 단순화의 과정은 도형들에 일정한 조건을 부여하며 진행한다. 도형들은 종잇장보다 더 한없이 얇아지고, 가상의 빛은 모든 도형들을 일정한 방향에서 비추고 있다. 도형은 그림자를 표현한 선으로만 그 완전한 모습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추측만 가능할 뿐 완전한 모습은 알 수 없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 까닭에 선 이외에 배경인 면 또한 작업에 중요한 의미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단순히 흰 배경이 아닌 보기 힘든 무언가를 암시할 수 있다고 여겨 작업에 반영했다.”
‘시각적 아름다움’을 모든 작품의 근간에 놓는 그는 특정 스케치들을 반복하고 심화해 그리려는 대상을 정한다. 그리고 먼저 배경색을 칠한 뒤 캔버스에 스케치를 옮기며 비율 변화에 따른 조정과 수정을 한 후 끝으로 흰색을 칠해 화면을 완성한다. 이때 작가는 물감과 기름을 섞었을 때의 농도와 붓의 크기에 많이 신경을 쓰며, 특히 붓의 터치에 따른 질감의 표현을 기준으로 흰 배경을 마무리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흰색은 색이라기보다 어떤 막 같다. 깨질까봐 혹은 밖으로 새어나올까 봐 얇게 싸고 있는 층처럼 느껴진다. 그가 경계 지어 보호하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허우중이 말갛게 펴 바른 흰색은 일종의 그림자로 실체와 함께 또 다른 실체를 의미하며, 무한한 의미생성의 색채로 보이지 않는 것을 보게 하고 빛을 발해 보는 이의 상상을 유도한다. 그리고 작품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은 익숙한 영역 밖의 잠재성을 지닌다. 각기 다른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 유기적 이미지는 기하학적 형상과 맞물리며 아는 것을 보는 것이 아니고 보고서 알게 되기를 유도한다. 그의 그림에서 발견한 형상은 ‘상징적 이미지’이면서 작가의 ‘심상적 자아’가 투영된 존재이며 이것들이 반사돼 시각적으로 출현한 것이다.
“부조리의 인식에서 오는 불안의 감정에 내포한 미지의 균형과 조화를 찾아가는 작업을 계속 하고 싶다.”는 허우중에게 ‘그리기’라는 행위는 자신을 옭매는 과정이다. 그리는 행위에 집중된 순간 얻어지는 극심한 쾌감으로 그리기를 계속하게 하는 필연적 이유는 그러나, 그가 결코 저버릴 수 없는 어쩔 수 없음인 듯하다.
정일주, 월간 퍼블릭아트 편집장
There is an artist, who titles his work 'Like My Scale and Your Scale Cannot Be the Same' and discusses 'Spiritual Attitude' after passing by 'Tower of Notion' Then he finally presents his works under the sentence 'From Saturday to Friday'. This is Hoh Woo Jung. Behind his serious and taciturn appearance, his mind is busy turning "wheel of thoughts". He is not interested in packaging himself or acting with self-conceit. He even ponders over what can happen in the future or what can might not happen, and only concentrates on what he has to do in silence.
He, who usually uses black or white and draws delicate lines, answers that "color sense in abundan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asked what the most crucial thing is to control colors and complete the canvas. His works consist in images created while arbitrary conditions of his own are given in the virtual form. He believes that black and white, to be exact, "delicate" black and white are the most appropriate ones to express figures existent in his conception.
The exhibition 《Social fiction》 I saw for the first time mainly consisted of black and is full of empty houses, suicide, mazes, communications (or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His painting seems to illuminate problems, great and small, which are spread in every corner of today's people, through the virtual world. His work sometimes shows a collapsing world yet still giving some expectation, sometimes it seems to be energyless yet with some fierce power enough to defeat reality some day. His cartoon-like painting evaporates melancholy into reverie leaving some hint of hope instead.
When Hoh Woo Jung was studying in France, he felt the thirst for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he began to focus on the Korean society, which was physically far though. The issues and problems of his homeland, which are superficially approached in a foreign country were recognized in an abstract manner, and the vague impression was faithfully reflected in <Social Fiction>. The changes he went through after coming back to Korea are naturally permeated in hi works. Instead of looking for the cause of anxiety from social phenomena, he sought it from cognition itself. This unique standard of the artist brought a conspicuously different nuance in his works. With this veiled tinge, works including <Spiritual Attitude> on a milky canvas was displayed.
While deep and gloomy narratives were created in a thin screen in <Social Fiction> the works posterior to <Spiritual Attitude> show profound hues in general. This question was asked to him, "What do you think i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He answered: "For the works of <Social Fiction> the social issues of the tim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creating narratives. Instead of focusing on the sense of depth of the scree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themes with extreme social contrast, I created the screen by giving clear black-white contrast to a variety of figurations. While <Social Fiction> intended to express the feeling of anxiety caused by social phenomena, the works of <Spiritual Attitude> conveyed the feeling of anxiety through lines and sides by alluding to virtual configurations. These virtual configurations are the simplified works of many figures and objects, which were piled up with physically impossible approaches in the series of <Tower of Notion> prior to <Spiritual Attitude> The simplification process advances while giving certain conditions to figures. The figures become extremely thin, even thinner than a sheet of paper, and the virtual light is shining all figures from a fixed direction. The complete aspect of a figure can be speculated only with the line expressing shadow. We can only guess the shape but we fail to see the complete aspect. However, what is not visible does not mean its non-existence. For this reason, apart from lines, the background, sides started to give importance in my works. I thought this was not a mere white backdrop but a hint to something which is not commonly visible, so I reflected this in my works".
He selects an object to draw by repeating and intensifying specific sketches while prioritizing "visual beauty" in all works. After painting the background color, he moves the sketch to the canvas. Later, after adjusting and correcting, he completes the screen by coloring white in the end. Here, Hoh Woo Jung pays special attention to paint-oil concentration and size of brush, in particular, the white background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exture of brush touches. This could be the reason then. His white color is closer to a sort of membrane than a mere color. It feels like a thin wrapping layer for fear of being broken or leaked. What could be the thing he wishes to protect by delimiting?
The white color neatly spreaded by the artist is a sort of shadow meaning another existence. Also, as a color of infinite creation of significance, it helps the invisible thing to be visible and the glow leads us to imagination. The images appeared in his works possess the potential beyond the familiar sphere. The organic images with heterogeneous gestures are interconnected with geometric figures through which we are invited to know after seeing and not see what we know. The configurations discovered in his painting are not only "symbolic images" but also an existence reflecting the artist's "image-based ego". The reflection of such elements is visually appeared.
For Hoh Woo Jung stating that "I would like to keep carrying out my work in search of unknown balance and harmony inherent in the feeling of anxiety derived from awareness of the absurd" the act of "drawing" is a process of binding himself. This inescapable reason which makes him keep drawing is this extreme pleasure obtained by the moment of concentrating on the act of drawing. By the way, this seems to be undeniable that he will never escape from it.
Jung Il Joo, Chief editor of PUBLIC ART
묵직한 제스처, 친밀한 숭고
‘나의 저울과 너의 저울이 같을 수 없는 것처럼’이란 작품 제목을 짓고, ‘관념의 탑’을 지나 ‘정신적 태도’를 논하더니 어느새 ‘토요일부터 금요일까지’란 문장으로 자신의 작품들을 소개하는 이가 있다. 작가 허우중이다. 겉모습은 진중하고 과묵하되 속으로는 생각의 수레를 끊임없이 돌리는 그는, 결코 자신을 포장하거나 자신하지 않는다. 앞으로 벌어지거나 혹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일까지 깊이 생각하며 묵묵히 자신이 해야 할 일에만 집중한다.
검은색 혹은 흰색을 사용하고 아주 미묘한 선을 긋는 그에게, 색을 절제하고 화면을 완성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지 묻자 “오히려 풍부한 색감이 가장 중요하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그의 작업은 가상의 형태에 제 임의대로 조건을 부여하며 만드는 이미지들이다. 그리고 제 관념 속에 존재하는 형상을 표현하는 데는 검은색과 흰색, 정확히는 ‘미묘한’ 검은색과 흰색이 가장 적합하다고 작가는 생각한다.
처음 본 그의 전시 《소셜픽션》은 검은색이 주를 이뤘고 빈집과 자살, 미로, 대화(혹은 불통)들로 점철돼 있었다. 현대인 주변에 포진한 크고 작은 문젯거리를 가상 세계에 비춘 듯한 그의 화면은, 몰락하는 세계를 보여주면서도 어쩐지 기대를 품게 하고 비참한 상황에 한없이 무기력한 것 같으면서도 언젠가 그 현실을 무찌를 것 같았다. 만화 같은 그의 화면은 실존하는 우울을 몽상으로 기화시키며 되레 희망을 남긴 것이다.
유학 중, 프랑스라는 사회와 소통의 갈증을 느낀 작가는 물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진 한국 사회에 오히려 집중했다. 타국에서 피상적으로 접하는 우리 사회적 쟁점과 문제들은 추상적으로 인식됐고 그 모호한 인상이 고스란히 반영된 작품이 바로 <소셜픽션>이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작가가 겪은 변화는 자연스럽게 작업에 녹아들었다. 불안의 원인을 사회 현상에서 찾기보다 인식 그 자체에서 찾는 허우중의 잣대로 인해 작업의 뉘앙스는 눈에 띄게 달라졌다. 그렇게 베일에 싸인 듯 뽀얀 화면의 <정신적 태도> 등이 선보였다.
“<소셜픽션>에서 깊고 우울한 내러티브를 얇은 화면으로 만들었다면, <정신적 태도> 이후의 작업들은 화면 자체가 매우 깊어졌다. 작가 스스로 두 작업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허우중에게 물었다. “<소셜픽션>의 작업들은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당시의 사회적 이슈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우리 사회의 명암이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주제들에 관심을 갖고 화면의 깊이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여러 형상들에 흑백의 뚜렷한 대비를 주어 화면을 만들었다. <소셜픽션>이 사회 현상에서 유발된 불안의 감정을 풀어내고자 하였다면 <정신적 태도>의 작업들은 불안의 감정을 가상의 형상에 빗대어 선과 면으로써 표현한 것이다. 이 가상의 형상은 <정신적 태도> 이전의 <관념의 탑>시리즈에서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쌓아 올린 여러 도형과 오브제들을 더욱 단순화한 것이다. 단순화의 과정은 도형들에 일정한 조건을 부여하며 진행한다. 도형들은 종잇장보다 더 한없이 얇아지고, 가상의 빛은 모든 도형들을 일정한 방향에서 비추고 있다. 도형은 그림자를 표현한 선으로만 그 완전한 모습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추측만 가능할 뿐 완전한 모습은 알 수 없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 까닭에 선 이외에 배경인 면 또한 작업에 중요한 의미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단순히 흰 배경이 아닌 보기 힘든 무언가를 암시할 수 있다고 여겨 작업에 반영했다.”
‘시각적 아름다움’을 모든 작품의 근간에 놓는 그는 특정 스케치들을 반복하고 심화해 그리려는 대상을 정한다. 그리고 먼저 배경색을 칠한 뒤 캔버스에 스케치를 옮기며 비율 변화에 따른 조정과 수정을 한 후 끝으로 흰색을 칠해 화면을 완성한다. 이때 작가는 물감과 기름을 섞었을 때의 농도와 붓의 크기에 많이 신경을 쓰며, 특히 붓의 터치에 따른 질감의 표현을 기준으로 흰 배경을 마무리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흰색은 색이라기보다 어떤 막 같다. 깨질까봐 혹은 밖으로 새어나올까 봐 얇게 싸고 있는 층처럼 느껴진다. 그가 경계 지어 보호하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허우중이 말갛게 펴 바른 흰색은 일종의 그림자로 실체와 함께 또 다른 실체를 의미하며, 무한한 의미생성의 색채로 보이지 않는 것을 보게 하고 빛을 발해 보는 이의 상상을 유도한다. 그리고 작품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은 익숙한 영역 밖의 잠재성을 지닌다. 각기 다른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 유기적 이미지는 기하학적 형상과 맞물리며 아는 것을 보는 것이 아니고 보고서 알게 되기를 유도한다. 그의 그림에서 발견한 형상은 ‘상징적 이미지’이면서 작가의 ‘심상적 자아’가 투영된 존재이며 이것들이 반사돼 시각적으로 출현한 것이다.
“부조리의 인식에서 오는 불안의 감정에 내포한 미지의 균형과 조화를 찾아가는 작업을 계속 하고 싶다.”는 허우중에게 ‘그리기’라는 행위는 자신을 옭매는 과정이다. 그리는 행위에 집중된 순간 얻어지는 극심한 쾌감으로 그리기를 계속하게 하는 필연적 이유는 그러나, 그가 결코 저버릴 수 없는 어쩔 수 없음인 듯하다.
정일주, 월간 퍼블릭아트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