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H WOO JUNG IN CONVERSATION WITH JINTAEG JANG
JINTAEG JANG: Why don’t we start the conversation with your early works? You lived and worked in France for quite some time.
HOH WOO JUNG: Works I created until I came back to Korea in 2017 mostly dealt with the feeling of anxiety. The anxious feeling resulted from a lack of communication experienced in a foreign land. I tried to relieve the angst by looking into the news about Korea. I started to collate these information that were dispersed fragmentarily online.
J: It seems like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your early works accumulated into telling a single event. Several images from the news are appropriated as reference, and thereafter a singular and complete narrative is produced as a result. Later, similar kinds of work appear in the form of collage.
H: I encountered these events as fragments reported through Korean media. The entirety of these fragments almost felt as if it were abstract because of its inscrutability. Concrete images composed the collage work I created at the time, but the sum of all images on a plane did not seem to resemble any comprehensible form. I myself wanted to create an image that was meant to be unidentifiable. That was also my impression when I was searching for the news.
J: You had a solo exhibition called Social Fiction at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Project Gallery in 2017. Along with the word “fiction” used in the exhibition title, there were illustration works on display.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wo elements, fiction and illustration, in your work?
H: Images in the exhibition could be read as a form of fictional narrative, but it was not my intention to convey the specific social issues to the audience. I intended to leave an impression how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and hoped the audience would have a similar impression. The use of illustrative images come from my long held interest in comics and traditional forms of print. I was particularly fond of the black and white comics because of its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 black and white.
J: I think we could name the series of works that came before 2017 as the “collage series”. These collage works are characteristic of creating a big ga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and the artist himself. In other words, the works do not narrowly allude to a particular event, but allow to examine the framework of such events by the gap--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bject.
H: Even though producing an image in my previous works started from actual events and issues from the society, they were not a persisting theme throughout the whole artistic process. I was concerned with the thought that I may be dealing with such events and issues lightly in a consuming manner. The physical distance and the fact that I wa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m were also the reasons behind this thought. I was rather more interested in the moment of constructing a collage of images or simply creating an image or a screen than the event itself.
J: Some works have their background erased, which also means that some works reveal the collage form a little more directly. Particularly in Defrag (2017), it is notable that numbers of iconography are presented in a scattered manner. I assume that there may have been a situation where you accidentally created several patterns or connected individual events through personalized curation when you unfolded the cluttered thoughts on a vast wall.
H: Defrag was created by the end of 2017 after I came back to Korea. I thought that unrolling images, images of memory or afterimages that linger in my mind, onto the wall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myself better. That is why I used this method of unraveling objects, drawings, and scribbles that I was fond of at the time on the wall.
J: Tower of Notion (2017) was created around the same time. It is a figurative painting that seems to imply the upcoming transformation of the image you explore. It could be seen as the last case of the collage se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beginning sign of the later series of abstract paintings. This work shows a proclivity of showcasing a sort of ‘non-narrative’ with a figurative form. If your early work was initially focusing on what to draw, after that decision was made you then commit to creating white paintings. What was the reason behind choosing the color white?
H: White, in general, reminds us of its meaning as ‘blank space,’ ‘negative space,’ ‘state of emptiness,’ ‘unengaged,’ etc. My intention was to rethink this general notion around the color white. At some point adjacent to this intention, I also thought about what it means to be unseen.
J: The question of what is in ‘existence’ comes after in contrast to the question of ‘absenc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olor white. If we follow the logic that white is the expression of ‘absence’ then the color black would be the expression of ‘existence’. However, your white paintings reverse this general perception of black and white by using black to express ‘absence’.
H: The viewer of the white paintings would first notice the fine line depicted on the surface. If the painting is seen more closely, it would be visible that the white area was ‘painted’ on the picture plane. The black line and the white plane are eventually all perceptible by the eyes, i.e. visible.
J: Making the plane perceptible by the lines could be found analogous to the act of measuring a bodily shape through a shadow.
H: That’s right. Light and shade played a major role in sketching the framework of my works. The interest in light and shade transmitted to the interest in line as I aimed for a more simplified expression.
J: After all, reconsidering the notion of visibility by reversing the representation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seems to be the aim of your white abstract paintings.
H: I think that working on a piece is a medium to reveal the thoughts I have at the time. The works I presented at a group exhibition The Unstable Objects (2019, SeMA, Nam-Seoul Museum of Art) could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There were works that converted a space into a form of supporting structure.
J: Titles of your works are quite informing. It designates very discrete and direct indications to the intended message about the work. This directness is amplified in your most recent solo exhibition HOH WOO JUNG: Shade Left Behind(2020) held at Songeun Art Cube. Now there is color in areas you consider as the lower background. This further clarifies the message that the white-painted surface may be the icon instead of a background.
H: The thought that painting could only be a visible thing after all became a triggering idea to these works. If the previous works explored the notion of ‘invisibility’ or ‘absence,’ recent works carry a premise that I wish to convey my thoughts through pictures. The color white used as a metaphor for invisibility is simply visible in the end. In this context, works introduced in the exhibition at Songeun Art Cube contain color as a signifier of the background and this background came forward in full measure.
J: You have traversed between the figurative and the abstract, the two very disparate spheres of expression. Focusing on the relation or the relative conditions between visibility and invisibility seems to have formed a unique strand of image that is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H: I agree. The thematic focus has shifted from the uncertainty of existence to the uncertainty of perceiving an existence. This change seems to have triggered the advent of the image that could be construed as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J: The works we discussed in this exchange makes us reconsider the general standards we have toward the issue of existence and the formal relationships that symbolize existence.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the works present themselves in a reversal manner. I look forward to the further endeavours to present ‘absence’ or to reshape the relation of ‘existence’ and ‘absence’ through your work. (Translated by Seojin Yim)
Jintaeg Jang, Curator
대담: 허우중 X 장진택
장진택(이하 장): 초창기 작업부터 이야기해보자. 프랑스에 꽤나 오래 머무르며 작업을 시작했다.
허우중(이하 허): 2017년에 한국에 돌아오기 전까지, 프랑스에 거주하면서 진행했던 작업들은 주로 불안이라는 감정에 초점을 두었다. 그건 타국이라는 장소에서 겪는 소통의 부재 때문이었고, 여기서 느끼는 갈증을 한국에서 일어나는 여러 뉴스를 찾아 보며 해소하려고 했다. 인터넷을 통해 조각조각 나뉘어져 있는 한국 뉴스를 단편적으로 접하면서 그 조각들을 이어 맞추는 작업을 했었다.
장: 초기작에서는 하나의 사건을 구성하는 형태로 이어 맞추기를 진행했던 것 같다. 뉴스의 여러 이미지를 레퍼런스로 차용하고, 그로부터 하나의 완결된 형태 또는 서사를 생산하는 작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의 작업 이후에는 콜라주 형식이 등장한다.
허: 한국의 일들을 단편적인 사실로 접했고, 그것의 총합은 거의 추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인상으로 받아들여졌다. 당시의 작업 또한 구체적 이미지들이 콜라주 형식으로 하나의 화면 안에 붙어있지만, 바라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 화면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인지 전혀 알 수 없는 형상에 가까웠다. 나 또한 무슨 이야기인지 모를 수밖에 없는 이미지를 만들고 싶었다. 실제로 그게 한국의 소식을 찾아보며 내가 받은 인상이었기 때문이다.
장: 2017년도에 경기도미술관에서 《소셜 픽션》이라는 전시를 열었다. “픽션”이라는 단어를 전시 제목에 사용했고 그와 함께 삽화적 이미지를 전시했다.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픽션과 삽화라는 두 요소는 어떤 의미가 있나?
허: 픽션과 같이 하나의 서사로 읽힐만한 이미지를 그렸지만, 관객에게 실제로 사회적 이슈를 전달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내가 받은 ‘알 수 없다'는 인상 자체를 남기고 싶었고, 관객 또한 ‘알 수 없다'는 인상을 받기를 원했다. 삽화적 이미지는 예전부터 만화나 판화 이미지를 굉장히 좋아했기 때문에 사용했다. 만화 중에서도 특히 흑백만화를 좋아했는데, 흑과 백 사이의 강한 색의 대비가 좋았기 때문이다.
장: 2017년까지의 작업을 일련의 ‘콜라주 시리즈’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콜라주 형식의 작업에서는, 그것이 관람자의 입장과 창작자 본인의 입장 사이의 큰 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건 작업이 특정 사건 자체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틀을 일정한 틈이나 거리를 둔 상태에서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상황을 말한다.
허: 이전의 작업에서는 멀리서 일어난 사회적 이슈를 이미지 생산의 시발점으로 삼았는데, 그렇다고 하나의 이슈 혹은 사건에 관해 오랜 기간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것은 아니다. 내가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직접 경험하지 않은 이슈를 가볍게 소비하듯이 이미지를 다뤘던 것이다. 사건 자체보다는 이미지 콜라주를 구성하는 순간이나 단순히 하나의 이미지 또는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에 더 흥미가 있었다.
장: 배경이 지워진 형태, 즉 콜라주 형식이 조금 더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작품도 있다. 특히 <조각모음>(2017) 작업에서 각각의 도상을 분산해 배치한 점이 눈에 띈다. 무한정의 벽 위에 정리되지 않은 생각을 자유롭게 펼쳐놓고자 했을 때, 오히려 그 안에서 우연히 여러 패턴을 만들게 된다거나 주관적인 기획으로 개별 사건들이 연결되는 경험이 있었을 것 같다.
허: 귀국 후, 2017년 말에 <조각모음>을 제작했다. 머릿속에 남아있는 잔상이나 기억의 이미지를 벽에 규칙 없이 풀어놓으면 나 스스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당시 좋아하는 오브제, 드로잉, 낙서들을 한 벽에 늘어놓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장: 비슷한 시기에 제작한 또 다른 작업 <관념의 탑>(2017)은 구상의 형태를 가진 유화인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미지의 변형을 암시하는 듯하다. 콜라주 시리즈의 마지막이면서도, 그 이후의 본격적인 추상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단초가 아니었을까. 이 작업은 일종의 ‘서사 없음'을 구상으로 보여주는 양상을 보인다. 초기에는 무엇을 그릴 것인가에 초점을 뒀다면, 그것을 결정한 다음 본격적으로 백색 추상을 시작한다. 백색의 의미부터 이야기해 보자.
허: 일반적으로 백색이라는 것은 ‘공백’, ‘여백’, ‘비어있음’, ‘칠해져 있지 않음’, ‘개입되어 있지 않음’ 등의 의미를 연상시킨다. 나는 백색이 가지는 이런 의미를 다시 생각하고 싶었다. 또한, 이 지점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건 무엇일까’ 하는 생각도 했었다.
장: 백색의 ‘없음'과 대비하는 ‘있음'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도 떠오른다. 백색은 ‘없음’을 표현한다면, 흑색은 보통 ‘있음'을 표현한다. 이 백색 추상 작업에서는 흑색을 ‘없음’을 위해 사용하면서 흑백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역전시킨다.
허: 백색 추상 작업을 보았을 때, 관람자로서는 화면에 표현된 얇은 선에 가장 먼저 눈이 가는 것 같다. 그걸 가까이서 보면, 백색 또한 ‘칠해져 있다’는 것이 보일 것이다. 흑색의 선과 백색 면은 결국에는 모두 눈에 보이는 것, 즉 가시적이라는 것이다.
장: 선을 통해서 면을 보여준다는 것, 그건 그림자를 통해 사람의 형체를 가늠하는 것과 유사하게 들린다.
허: 그렇다. 작업의 형체를 그려낼 때 명암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 점점 더 단순화된 표현을 지향하면서 명암에 대한 관심이 선으로 이어졌다.
장: 결국 이 백색 추상은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의미 역전을 통해 가시성에 대해 재고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다.
허: 작업은 결국 내가 하고 있던 생각을 수면 위로 보여주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불안한 사물들》(2019,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전에서는 공간을 부조 작업의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때의 작업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 작품의 제목들을 보면 관객에게 매우 친절하게 작업의 정보를 제공한다고 느껴진다. 그것은 작품의 제목에서 작품의 내용에 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시가 일어나기 때문인데, 가장 최근의 개인전 《잔상의 깊이》(2020, 송은 아트큐브)에서 소개한 작업들에서는 그것이 더욱 극대화된다. 이제는 화면의 아래 배경 부분에 색을 칠한다. 이로써 백색으로 칠한 면이 도상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한층 명확하게 드러낸다.
허: 그림은 결국 가시적인 것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계기가 되었다. 이전 작업에서 ‘비가시적인 것’이나 ‘없음'을 재고했다면, 최근의 작업은 단지 그림을 통해 내 생각을 전달하고 싶다는 전제를 두고 진행한 것이다. 비가시적인 것을 은유하는 백색도 결국 가시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번 전시에서는 색을 배경의 의미로 쓰면서, 그 내용을 보다 전면적으로 드러나게 했던 것이다.
장: 표현에 있어서 구상과 추상이라는, 너무나도 이질적인 영역들을 넘나들어 왔다. 가시성과 비가시성 사이의 관계나 상대적 조건들에 집중하다 보니, 구상이기도 혹은 추상이기도 한 독특한 형상의 이미지를 구성해 왔던 것 같다.
허: 그렇다. 이전에는 존재의 불확실성에 기반했다면, 이제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불확실성으로 이야기의 초점을 옮겼다. 그로 인해, 구상으로도 추상으로도 볼 수 있는 이미지를 출현시킨 것 같다.
장: 작가의 작업은 존재의 있음과 없음 그리고 이를 상징하는 대상들의 여러 형상적 관계 등과 관련해, 어떤 일반적 기준을 우리로 하여금 재고토록 한다. 특히 그것은 무엇인가를 역의 방식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앞으로도 ‘없음'을 보여주기 위한, 혹은 ‘있음'과 ‘없음'의 관계를 재편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계속해 주기를 기대한다.
장진택, 큐레이터
JINTAEG JANG: Why don’t we start the conversation with your early works? You lived and worked in France for quite some time.
HOH WOO JUNG: Works I created until I came back to Korea in 2017 mostly dealt with the feeling of anxiety. The anxious feeling resulted from a lack of communication experienced in a foreign land. I tried to relieve the angst by looking into the news about Korea. I started to collate these information that were dispersed fragmentarily online.
J: It seems like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your early works accumulated into telling a single event. Several images from the news are appropriated as reference, and thereafter a singular and complete narrative is produced as a result. Later, similar kinds of work appear in the form of collage.
H: I encountered these events as fragments reported through Korean media. The entirety of these fragments almost felt as if it were abstract because of its inscrutability. Concrete images composed the collage work I created at the time, but the sum of all images on a plane did not seem to resemble any comprehensible form. I myself wanted to create an image that was meant to be unidentifiable. That was also my impression when I was searching for the news.
J: You had a solo exhibition called Social Fiction at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Project Gallery in 2017. Along with the word “fiction” used in the exhibition title, there were illustration works on display.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wo elements, fiction and illustration, in your work?
H: Images in the exhibition could be read as a form of fictional narrative, but it was not my intention to convey the specific social issues to the audience. I intended to leave an impression how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and hoped the audience would have a similar impression. The use of illustrative images come from my long held interest in comics and traditional forms of print. I was particularly fond of the black and white comics because of its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 black and white.
J: I think we could name the series of works that came before 2017 as the “collage series”. These collage works are characteristic of creating a big ga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and the artist himself. In other words, the works do not narrowly allude to a particular event, but allow to examine the framework of such events by the gap--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bject.
H: Even though producing an image in my previous works started from actual events and issues from the society, they were not a persisting theme throughout the whole artistic process. I was concerned with the thought that I may be dealing with such events and issues lightly in a consuming manner. The physical distance and the fact that I wa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m were also the reasons behind this thought. I was rather more interested in the moment of constructing a collage of images or simply creating an image or a screen than the event itself.
J: Some works have their background erased, which also means that some works reveal the collage form a little more directly. Particularly in Defrag (2017), it is notable that numbers of iconography are presented in a scattered manner. I assume that there may have been a situation where you accidentally created several patterns or connected individual events through personalized curation when you unfolded the cluttered thoughts on a vast wall.
H: Defrag was created by the end of 2017 after I came back to Korea. I thought that unrolling images, images of memory or afterimages that linger in my mind, onto the wall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myself better. That is why I used this method of unraveling objects, drawings, and scribbles that I was fond of at the time on the wall.
J: Tower of Notion (2017) was created around the same time. It is a figurative painting that seems to imply the upcoming transformation of the image you explore. It could be seen as the last case of the collage se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beginning sign of the later series of abstract paintings. This work shows a proclivity of showcasing a sort of ‘non-narrative’ with a figurative form. If your early work was initially focusing on what to draw, after that decision was made you then commit to creating white paintings. What was the reason behind choosing the color white?
H: White, in general, reminds us of its meaning as ‘blank space,’ ‘negative space,’ ‘state of emptiness,’ ‘unengaged,’ etc. My intention was to rethink this general notion around the color white. At some point adjacent to this intention, I also thought about what it means to be unseen.
J: The question of what is in ‘existence’ comes after in contrast to the question of ‘absenc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olor white. If we follow the logic that white is the expression of ‘absence’ then the color black would be the expression of ‘existence’. However, your white paintings reverse this general perception of black and white by using black to express ‘absence’.
H: The viewer of the white paintings would first notice the fine line depicted on the surface. If the painting is seen more closely, it would be visible that the white area was ‘painted’ on the picture plane. The black line and the white plane are eventually all perceptible by the eyes, i.e. visible.
J: Making the plane perceptible by the lines could be found analogous to the act of measuring a bodily shape through a shadow.
H: That’s right. Light and shade played a major role in sketching the framework of my works. The interest in light and shade transmitted to the interest in line as I aimed for a more simplified expression.
J: After all, reconsidering the notion of visibility by reversing the representation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seems to be the aim of your white abstract paintings.
H: I think that working on a piece is a medium to reveal the thoughts I have at the time. The works I presented at a group exhibition The Unstable Objects (2019, SeMA, Nam-Seoul Museum of Art) could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There were works that converted a space into a form of supporting structure.
J: Titles of your works are quite informing. It designates very discrete and direct indications to the intended message about the work. This directness is amplified in your most recent solo exhibition HOH WOO JUNG: Shade Left Behind(2020) held at Songeun Art Cube. Now there is color in areas you consider as the lower background. This further clarifies the message that the white-painted surface may be the icon instead of a background.
H: The thought that painting could only be a visible thing after all became a triggering idea to these works. If the previous works explored the notion of ‘invisibility’ or ‘absence,’ recent works carry a premise that I wish to convey my thoughts through pictures. The color white used as a metaphor for invisibility is simply visible in the end. In this context, works introduced in the exhibition at Songeun Art Cube contain color as a signifier of the background and this background came forward in full measure.
J: You have traversed between the figurative and the abstract, the two very disparate spheres of expression. Focusing on the relation or the relative conditions between visibility and invisibility seems to have formed a unique strand of image that is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H: I agree. The thematic focus has shifted from the uncertainty of existence to the uncertainty of perceiving an existence. This change seems to have triggered the advent of the image that could be construed as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J: The works we discussed in this exchange makes us reconsider the general standards we have toward the issue of existence and the formal relationships that symbolize existence.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the works present themselves in a reversal manner. I look forward to the further endeavours to present ‘absence’ or to reshape the relation of ‘existence’ and ‘absence’ through your work. (Translated by Seojin Yim)
Jintaeg Jang, Curator
대담: 허우중 X 장진택
장진택(이하 장): 초창기 작업부터 이야기해보자. 프랑스에 꽤나 오래 머무르며 작업을 시작했다.
허우중(이하 허): 2017년에 한국에 돌아오기 전까지, 프랑스에 거주하면서 진행했던 작업들은 주로 불안이라는 감정에 초점을 두었다. 그건 타국이라는 장소에서 겪는 소통의 부재 때문이었고, 여기서 느끼는 갈증을 한국에서 일어나는 여러 뉴스를 찾아 보며 해소하려고 했다. 인터넷을 통해 조각조각 나뉘어져 있는 한국 뉴스를 단편적으로 접하면서 그 조각들을 이어 맞추는 작업을 했었다.
장: 초기작에서는 하나의 사건을 구성하는 형태로 이어 맞추기를 진행했던 것 같다. 뉴스의 여러 이미지를 레퍼런스로 차용하고, 그로부터 하나의 완결된 형태 또는 서사를 생산하는 작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의 작업 이후에는 콜라주 형식이 등장한다.
허: 한국의 일들을 단편적인 사실로 접했고, 그것의 총합은 거의 추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인상으로 받아들여졌다. 당시의 작업 또한 구체적 이미지들이 콜라주 형식으로 하나의 화면 안에 붙어있지만, 바라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 화면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인지 전혀 알 수 없는 형상에 가까웠다. 나 또한 무슨 이야기인지 모를 수밖에 없는 이미지를 만들고 싶었다. 실제로 그게 한국의 소식을 찾아보며 내가 받은 인상이었기 때문이다.
장: 2017년도에 경기도미술관에서 《소셜 픽션》이라는 전시를 열었다. “픽션”이라는 단어를 전시 제목에 사용했고 그와 함께 삽화적 이미지를 전시했다.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픽션과 삽화라는 두 요소는 어떤 의미가 있나?
허: 픽션과 같이 하나의 서사로 읽힐만한 이미지를 그렸지만, 관객에게 실제로 사회적 이슈를 전달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내가 받은 ‘알 수 없다'는 인상 자체를 남기고 싶었고, 관객 또한 ‘알 수 없다'는 인상을 받기를 원했다. 삽화적 이미지는 예전부터 만화나 판화 이미지를 굉장히 좋아했기 때문에 사용했다. 만화 중에서도 특히 흑백만화를 좋아했는데, 흑과 백 사이의 강한 색의 대비가 좋았기 때문이다.
장: 2017년까지의 작업을 일련의 ‘콜라주 시리즈’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콜라주 형식의 작업에서는, 그것이 관람자의 입장과 창작자 본인의 입장 사이의 큰 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건 작업이 특정 사건 자체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틀을 일정한 틈이나 거리를 둔 상태에서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상황을 말한다.
허: 이전의 작업에서는 멀리서 일어난 사회적 이슈를 이미지 생산의 시발점으로 삼았는데, 그렇다고 하나의 이슈 혹은 사건에 관해 오랜 기간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것은 아니다. 내가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직접 경험하지 않은 이슈를 가볍게 소비하듯이 이미지를 다뤘던 것이다. 사건 자체보다는 이미지 콜라주를 구성하는 순간이나 단순히 하나의 이미지 또는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에 더 흥미가 있었다.
장: 배경이 지워진 형태, 즉 콜라주 형식이 조금 더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작품도 있다. 특히 <조각모음>(2017) 작업에서 각각의 도상을 분산해 배치한 점이 눈에 띈다. 무한정의 벽 위에 정리되지 않은 생각을 자유롭게 펼쳐놓고자 했을 때, 오히려 그 안에서 우연히 여러 패턴을 만들게 된다거나 주관적인 기획으로 개별 사건들이 연결되는 경험이 있었을 것 같다.
허: 귀국 후, 2017년 말에 <조각모음>을 제작했다. 머릿속에 남아있는 잔상이나 기억의 이미지를 벽에 규칙 없이 풀어놓으면 나 스스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당시 좋아하는 오브제, 드로잉, 낙서들을 한 벽에 늘어놓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장: 비슷한 시기에 제작한 또 다른 작업 <관념의 탑>(2017)은 구상의 형태를 가진 유화인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미지의 변형을 암시하는 듯하다. 콜라주 시리즈의 마지막이면서도, 그 이후의 본격적인 추상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단초가 아니었을까. 이 작업은 일종의 ‘서사 없음'을 구상으로 보여주는 양상을 보인다. 초기에는 무엇을 그릴 것인가에 초점을 뒀다면, 그것을 결정한 다음 본격적으로 백색 추상을 시작한다. 백색의 의미부터 이야기해 보자.
허: 일반적으로 백색이라는 것은 ‘공백’, ‘여백’, ‘비어있음’, ‘칠해져 있지 않음’, ‘개입되어 있지 않음’ 등의 의미를 연상시킨다. 나는 백색이 가지는 이런 의미를 다시 생각하고 싶었다. 또한, 이 지점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건 무엇일까’ 하는 생각도 했었다.
장: 백색의 ‘없음'과 대비하는 ‘있음'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도 떠오른다. 백색은 ‘없음’을 표현한다면, 흑색은 보통 ‘있음'을 표현한다. 이 백색 추상 작업에서는 흑색을 ‘없음’을 위해 사용하면서 흑백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역전시킨다.
허: 백색 추상 작업을 보았을 때, 관람자로서는 화면에 표현된 얇은 선에 가장 먼저 눈이 가는 것 같다. 그걸 가까이서 보면, 백색 또한 ‘칠해져 있다’는 것이 보일 것이다. 흑색의 선과 백색 면은 결국에는 모두 눈에 보이는 것, 즉 가시적이라는 것이다.
장: 선을 통해서 면을 보여준다는 것, 그건 그림자를 통해 사람의 형체를 가늠하는 것과 유사하게 들린다.
허: 그렇다. 작업의 형체를 그려낼 때 명암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 점점 더 단순화된 표현을 지향하면서 명암에 대한 관심이 선으로 이어졌다.
장: 결국 이 백색 추상은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의미 역전을 통해 가시성에 대해 재고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다.
허: 작업은 결국 내가 하고 있던 생각을 수면 위로 보여주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불안한 사물들》(2019,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전에서는 공간을 부조 작업의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때의 작업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 작품의 제목들을 보면 관객에게 매우 친절하게 작업의 정보를 제공한다고 느껴진다. 그것은 작품의 제목에서 작품의 내용에 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시가 일어나기 때문인데, 가장 최근의 개인전 《잔상의 깊이》(2020, 송은 아트큐브)에서 소개한 작업들에서는 그것이 더욱 극대화된다. 이제는 화면의 아래 배경 부분에 색을 칠한다. 이로써 백색으로 칠한 면이 도상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한층 명확하게 드러낸다.
허: 그림은 결국 가시적인 것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계기가 되었다. 이전 작업에서 ‘비가시적인 것’이나 ‘없음'을 재고했다면, 최근의 작업은 단지 그림을 통해 내 생각을 전달하고 싶다는 전제를 두고 진행한 것이다. 비가시적인 것을 은유하는 백색도 결국 가시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번 전시에서는 색을 배경의 의미로 쓰면서, 그 내용을 보다 전면적으로 드러나게 했던 것이다.
장: 표현에 있어서 구상과 추상이라는, 너무나도 이질적인 영역들을 넘나들어 왔다. 가시성과 비가시성 사이의 관계나 상대적 조건들에 집중하다 보니, 구상이기도 혹은 추상이기도 한 독특한 형상의 이미지를 구성해 왔던 것 같다.
허: 그렇다. 이전에는 존재의 불확실성에 기반했다면, 이제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불확실성으로 이야기의 초점을 옮겼다. 그로 인해, 구상으로도 추상으로도 볼 수 있는 이미지를 출현시킨 것 같다.
장: 작가의 작업은 존재의 있음과 없음 그리고 이를 상징하는 대상들의 여러 형상적 관계 등과 관련해, 어떤 일반적 기준을 우리로 하여금 재고토록 한다. 특히 그것은 무엇인가를 역의 방식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앞으로도 ‘없음'을 보여주기 위한, 혹은 ‘있음'과 ‘없음'의 관계를 재편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계속해 주기를 기대한다.
장진택, 큐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