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itual Attitude
On show at the exhibition are gray canvases with geometric shapes drawn using dim lines. Alpha and Omega, Need of Ennui, Hard to See, Like My Scale and Your Scale Cannot Be the Same, and Pagoda are composed of modest lines and are devoid of any narrative and descriptive renditions. The exhibition Spiritual Attitude consists of only the new series of Hoh Woojung mentioned above. Several shapes are amassed irregularly, something which is suggested by each line. These works seem to describe the approaching situation overcoming the reality of the structures that appear likely to fall. These works depend on a style that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his previous drawings, paintings, and collages, but we can arrive 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lines when we follow their path.
Hoh Woojung has represented unstable feelings like cynicism and fear pervasive in our times in a wide range of mediums. He has primarily tapped into drawing and collage as devices to interpret and portray given situations. To do this, he dramatically depicts fictional situations with cartoon elements or wittily illustrates things that are likely to collapse with solid colors and lines. He takes the motifs of his works from specific incidents and accidents that took place in South Korea. His early pieces were blunt visualizations of stories pertaining to bee raising, ecology cycles, and Potemkin allegory as devices to impart facts and disclose emotional delicacies. As time slipped by in 2016, his descriptive idioms began to be replaced with pared down geometric figures such as spheres, triangular pyramids, hexahedrons, and sticks.
In his works substantial things like wood that is about to be broken and an inflated beehive are morphed into sleek shapes which allude to the fact that the artist has a strong will to convey intangible things such as emotion and psychology through more intuitive forms. This rendition dares to be likened to a cartoon in which something intangible is represented only with motions and looks without dialogue or sound. No words (speeches) are necessary to portray the feelings of the main characters. All the same, we are able to sense change in their psychology. Let us suppose this is similar to the language of the artist who has chosen the act of “erecting a tower” as a method for conveying “ideas”. Each shape is thought of as a mass of messages he intends to convey and a tower made up of those shapes is thought of as either the system of his thinking or as a device to lead viewer interpretation. The artist provides viewers with an opportunity to interpret and meditate on such things while heaping up elemental shapes and things laden with uncertainty. He also explores the relations of these organically tangled shapes in collaboration with the viewers, proposing that we should look for balance and harmony.
The lines he adopted for this work are fully exploited as a tool to express his own ideas. The meaning of these lines is maximized by the exhibition title Spiritual Attitude. These lines are too weak and dim to refer to something in particular but they still manage to represent his mindset of suggesting the notion of a new balance by overturning our stereotyped perspective. His practice is thought to be a device to complement the equilibrium and harmony our society lacks in every respect.
Jimin Lee, Curator of Seoul Museum of Art
정신적 태도
희미한 선으로 그려 넣은 기하학적 도형으로 가득 찬 회색의 캔버스가 전시장 벽을 메우고 있다. 서사적 드로잉이나 묘사를 제외한 채 담백한 선의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처음과 끝>, <권태의 필요>, <보기힘든>, <나의 저울과 너의 저울이 같을 수 없는 것처럼>, <공든 탑> 등의 작품 설치 전경이다. 《정신적 태도》전은 허우중 작가의 신작인 위 시리즈들로만 구성된다. 작품의 각 선은 여러 도형의 요소를 불규칙적 조합으로 쌓아둔 정황을 암시적으로 알리고 있다. 금방 무너질 것만 같은 구조물의 안정적 순간의 찰나를 평면에 고정시켜 현실을 넘어선 상황을 서술하는 것만 같다. 불안정과 안정의 경계, 즉 비정상적 심리 상태를 대변하는 이 작품은 작가의 기존 드로잉, 회화, 콜라주 등과 같은 작업과는 명백히 다른 작풍을 띄지만, 자취를 따라가 보면 도출될 수밖에 없는 ‘선’의 당위에 도달하게 된다.
허우중은 동시대에 만연한 우리의 심리 중 냉소와 두려움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을 여러 가지 매체로 표현해 왔다. 특히 허구적 상황을 만화 요소를 통해 극적으로 표현하거나, 금방 무너지고 쓰러질 것만 같은 존재를 오히려 단단한 선과 색으로 묶어 재치 있게 발언하는 등 주어진 정황을 작가만의 감각으로 읽어내어 전달하는 발화 장치로 드로잉과 콜라주를 주로 활용했다. 소재는 주로 한국에서 일어난 특정 사건이나 사고를 중심으로 했다. 초기작에서는 사건의 사실전달 뿐만 아니라 그것을 접하는 감정의 연약함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장치로 양봉 풍경, 생태 순환, 포템킨 이야기 등을 직설적으로 시각화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또 2016년에 다다랐을 때 작가의 서술 언어가 구, 삼각뿔, 육면체, 막대기와 같은 단순한 기하학 도형들로 대체되기 시작한다.
부러지기 직전의 나무와 부풀려진 벌집과 같은 실체들이 매끄러운 도형으로 변한 것은 작가가 좀 더 직감적인 형체를 선택함으로써 감정이나 심리 등 무형의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음을 암시한다. 대사나 소리 없이 움직임과 표정만으로 흘러가는 만화에 감히 비유해 보면 어떨까. 주인공들의 감정 묘사에는 언어(말)가 필요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의 심리 변화를 온전히 느낄 수 있다. 이것이 ‘관념’의 전달 방식으로 ‘탑’쌓기를 선택한 작가의 언어와 같다고 가정해 보자. 각 형상은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덩어리이고, 그들이 이루는 탑은 작가의 사유체계이자 보는 사람의 해석을 유도하는 장치로 비춰진다. 가장 근원적인 형체임과 동시에 불확실성을 잔뜩 머금은 것을 쌓아 올려 가면서 작가는 해석과 사유의 기회를 관람객에게 내던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자의 균형과 조화를 찾기를 제안하며 유기적으로 얽힌 도상의 관계들을 관람자와 함께 찾아 나선다.
이처럼 작가가 이번 작업에서 선택한 ‘선’의 존재는 작가만의 관념 표출의 도구로 십분 활용됐다. 더불어 선은 전시 제목인 《정신적 태도》에서 더욱 극대화 된다. 무엇을 지시하고 안내하기에 한없이 약하고 희미한 선이지만, 불균형과 균형의 경계에서 우리의 획일적 시선을 전복시켜 새로운 균형의 개념을 제안하는 태도를 대변하는 것이다. 관념의 탑을 통한 작가의 시도가 사회에 결여된 면면에서 필요한 균형과 조화를 보완하는 발화 장치가 되길 기대해 본다.
이지민,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On show at the exhibition are gray canvases with geometric shapes drawn using dim lines. Alpha and Omega, Need of Ennui, Hard to See, Like My Scale and Your Scale Cannot Be the Same, and Pagoda are composed of modest lines and are devoid of any narrative and descriptive renditions. The exhibition Spiritual Attitude consists of only the new series of Hoh Woojung mentioned above. Several shapes are amassed irregularly, something which is suggested by each line. These works seem to describe the approaching situation overcoming the reality of the structures that appear likely to fall. These works depend on a style that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his previous drawings, paintings, and collages, but we can arrive 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lines when we follow their path.
Hoh Woojung has represented unstable feelings like cynicism and fear pervasive in our times in a wide range of mediums. He has primarily tapped into drawing and collage as devices to interpret and portray given situations. To do this, he dramatically depicts fictional situations with cartoon elements or wittily illustrates things that are likely to collapse with solid colors and lines. He takes the motifs of his works from specific incidents and accidents that took place in South Korea. His early pieces were blunt visualizations of stories pertaining to bee raising, ecology cycles, and Potemkin allegory as devices to impart facts and disclose emotional delicacies. As time slipped by in 2016, his descriptive idioms began to be replaced with pared down geometric figures such as spheres, triangular pyramids, hexahedrons, and sticks.
In his works substantial things like wood that is about to be broken and an inflated beehive are morphed into sleek shapes which allude to the fact that the artist has a strong will to convey intangible things such as emotion and psychology through more intuitive forms. This rendition dares to be likened to a cartoon in which something intangible is represented only with motions and looks without dialogue or sound. No words (speeches) are necessary to portray the feelings of the main characters. All the same, we are able to sense change in their psychology. Let us suppose this is similar to the language of the artist who has chosen the act of “erecting a tower” as a method for conveying “ideas”. Each shape is thought of as a mass of messages he intends to convey and a tower made up of those shapes is thought of as either the system of his thinking or as a device to lead viewer interpretation. The artist provides viewers with an opportunity to interpret and meditate on such things while heaping up elemental shapes and things laden with uncertainty. He also explores the relations of these organically tangled shapes in collaboration with the viewers, proposing that we should look for balance and harmony.
The lines he adopted for this work are fully exploited as a tool to express his own ideas. The meaning of these lines is maximized by the exhibition title Spiritual Attitude. These lines are too weak and dim to refer to something in particular but they still manage to represent his mindset of suggesting the notion of a new balance by overturning our stereotyped perspective. His practice is thought to be a device to complement the equilibrium and harmony our society lacks in every respect.
Jimin Lee, Curator of Seoul Museum of Art
정신적 태도
희미한 선으로 그려 넣은 기하학적 도형으로 가득 찬 회색의 캔버스가 전시장 벽을 메우고 있다. 서사적 드로잉이나 묘사를 제외한 채 담백한 선의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처음과 끝>, <권태의 필요>, <보기힘든>, <나의 저울과 너의 저울이 같을 수 없는 것처럼>, <공든 탑> 등의 작품 설치 전경이다. 《정신적 태도》전은 허우중 작가의 신작인 위 시리즈들로만 구성된다. 작품의 각 선은 여러 도형의 요소를 불규칙적 조합으로 쌓아둔 정황을 암시적으로 알리고 있다. 금방 무너질 것만 같은 구조물의 안정적 순간의 찰나를 평면에 고정시켜 현실을 넘어선 상황을 서술하는 것만 같다. 불안정과 안정의 경계, 즉 비정상적 심리 상태를 대변하는 이 작품은 작가의 기존 드로잉, 회화, 콜라주 등과 같은 작업과는 명백히 다른 작풍을 띄지만, 자취를 따라가 보면 도출될 수밖에 없는 ‘선’의 당위에 도달하게 된다.
허우중은 동시대에 만연한 우리의 심리 중 냉소와 두려움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을 여러 가지 매체로 표현해 왔다. 특히 허구적 상황을 만화 요소를 통해 극적으로 표현하거나, 금방 무너지고 쓰러질 것만 같은 존재를 오히려 단단한 선과 색으로 묶어 재치 있게 발언하는 등 주어진 정황을 작가만의 감각으로 읽어내어 전달하는 발화 장치로 드로잉과 콜라주를 주로 활용했다. 소재는 주로 한국에서 일어난 특정 사건이나 사고를 중심으로 했다. 초기작에서는 사건의 사실전달 뿐만 아니라 그것을 접하는 감정의 연약함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장치로 양봉 풍경, 생태 순환, 포템킨 이야기 등을 직설적으로 시각화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또 2016년에 다다랐을 때 작가의 서술 언어가 구, 삼각뿔, 육면체, 막대기와 같은 단순한 기하학 도형들로 대체되기 시작한다.
부러지기 직전의 나무와 부풀려진 벌집과 같은 실체들이 매끄러운 도형으로 변한 것은 작가가 좀 더 직감적인 형체를 선택함으로써 감정이나 심리 등 무형의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음을 암시한다. 대사나 소리 없이 움직임과 표정만으로 흘러가는 만화에 감히 비유해 보면 어떨까. 주인공들의 감정 묘사에는 언어(말)가 필요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의 심리 변화를 온전히 느낄 수 있다. 이것이 ‘관념’의 전달 방식으로 ‘탑’쌓기를 선택한 작가의 언어와 같다고 가정해 보자. 각 형상은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덩어리이고, 그들이 이루는 탑은 작가의 사유체계이자 보는 사람의 해석을 유도하는 장치로 비춰진다. 가장 근원적인 형체임과 동시에 불확실성을 잔뜩 머금은 것을 쌓아 올려 가면서 작가는 해석과 사유의 기회를 관람객에게 내던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자의 균형과 조화를 찾기를 제안하며 유기적으로 얽힌 도상의 관계들을 관람자와 함께 찾아 나선다.
이처럼 작가가 이번 작업에서 선택한 ‘선’의 존재는 작가만의 관념 표출의 도구로 십분 활용됐다. 더불어 선은 전시 제목인 《정신적 태도》에서 더욱 극대화 된다. 무엇을 지시하고 안내하기에 한없이 약하고 희미한 선이지만, 불균형과 균형의 경계에서 우리의 획일적 시선을 전복시켜 새로운 균형의 개념을 제안하는 태도를 대변하는 것이다. 관념의 탑을 통한 작가의 시도가 사회에 결여된 면면에서 필요한 균형과 조화를 보완하는 발화 장치가 되길 기대해 본다.
이지민,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