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logue : Hoh Woo Jung & Hwanju Kim
Hwanju Kim : The process of an ordinary person becoming an artist is always interesting. I believe it is closely tied to one's childhood, when did you first start contemplating the idea of becoming an artist?
Hoh Woo Jung : As my father was a painter, I was exposed to art from a young age, and my mother shared a deep passion for it as well. At one point, I believed that becoming an artist was solely my personal decision. However, upon reflection, I realize that my father's life as an artist and the nurturing artistic atmosphere within my family had a profound impact on me.
Kim : What led you to choose studying abroad in France over attending an art university in South Korea? Additionally, I'm intrigued by the story of how studying abroad influenced your development as an artist.
Hoh : Art has always been a source of joy and passion for me since childhood. However, living in the countryside limited my access to specialized institutions like art high schools or academies focused on entrance exams. Furthermore, my parents held a negative view towards academic art, so I ended up attending a regular high school. Despite this, I would spend countless hours in the evenings, after school classes, engrossed in scribbling and drawing alone late into the night. I didn't want to follow the conventional path that others took, and I had a curious mindset to explore and learn things on my own without relying on external assistance. Eventually, my passion led me towards art, but I didn't pursue formal art education in South Korea. Instead, I turned my gaze towards studying abroad, specifically in France, without any concrete plans in mind. Fortunately, my parents had no objections, so I embarked on my journey of studying abroad without much difficulty, aside from the language barrier. Little did I know that my stay there would extend to a decade.
Kim : Have you ever had moments of doubt or regret about your decision to become an artist? Living in a foreign country alone can be challenging, and I imagine there were numerous obstacles to overcome in order to sustain your artistic journey and establish yourself.
Hoh : While in France, I constantly felt a sense of unease. The French art school curriculum allowed students a high degree of freedom, with no specific guidance or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classes they could take. This made it challenging to determine which courses to enroll in and how to navigate their school life. At the time, I questioned whether it was acceptable for schools to neglect students in such a manner. However, in retrospect, it appears that this principle of comprehensive neglect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me into the artist I am today. Not only during my academic journey but also throughout my time studying abroad, I had to make all decisions by myself. Living in unfamiliar environments and forming new relationships without the familiarity and comfort of home, it appears that I naturally fostered an independent mindset, which greatly influenced my growth as an artist.
Kim : The work proces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stage of envisioning and the stage of visualization, but I am curious about the specific progress in each stage.
Hoh : The work begins by scribbling down ideas, and the visual information that emerges from them is carefully observed, transformed, and developed to enhance the overall completeness of the concept. Instead of simply transferring my thoughts from my mind onto the sketch, I believe that sketching itself is a process of expanding my thinking. As the canvas serves as an independent space separate from the sketching phase, I commence the work of translating the idea after contemplating how to express it specifically in this context. Throughout this process, as materials and sizes evolve, the initial ideas undergo further transformation, leading to the discovery of unexpected and serendipitous shapes. There is a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an idea sketch and a canvas. Idea sketches, drawn solely with a pencil, tend to overlook the dimensionality of the surface. As the work transitions onto the canvas, the texture and materials come into full effect, inevitably creating gaps due to their inherent differences. Throughout the process, I carefully observe the evolving elements as they transfer onto the canvas. If I am dissatisfied with the precise translation from the sketch, I revisit the conception stage. The iterative task of continuously adjusting the impression from the idea sketch to match the outcome on the canvas is a laborious yet indispensable process.
Kim : It is fascinating how the process of conception and visualization is not distinctly separated but rather share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Hoh : It is rare for me to have a specific idea in mind and immediately begin working. Instead, I visualize the multitude of thoughts in a disorganized manner through scribbles, often referred to as Esquisse. It is through the combination of specific ideas and images that the clues to my work are formed.
Kim : Examining the materials involv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canvas, it becomes apparent that pencils, alongside oil paints, play a significant role. Typically, pencils are employed for preliminary sketches, while paints serve as the medium for finalizing the artwork. However, there is an intriguing semantic inversion between these two materials in your artworks.
Hoh : The uncertain and variable nature of a pencil, characterized by its ease of erasure and the fragility of creating blurry, thin lines, held a certain allure for me. Simultaneously, the pencil serves as the fundamental material in composing a picture, offering stability immediately upon use unlike highly fluid paints. Paint solidifies after drying, but there is a risk of it being easily deformed until fully hardened. On the other hand, a pencil is a material that can be erased at any time, regardless of whether it has dried or not,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its use and post-use. I find great satisfaction in the coexistence of materials with such contrasting characteristics.
Kim : A pencil is also a mixture of graphite and a binder, and it is thought tha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oil of oil paint, it acquires a characteristic of hardening.
Hoh : Indeed, despite their distinct physical properties, these materials mutually influence each other while retaining their own texture and shape. In particular, pencils undergo a solidifying transformation when they interact with paint. These inh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play a vital role both visually and tactilely throughout the artistic process, eventually merging with the conceptual aspects of the work.
Kim : In the early works, concrete shapes are depicted with strong contrasts in monotone, resembling scenes from a story. However, as the works progress, the shapes gradually simplify, consisting of lines and surface, eventually taking on a completely abstract form. This significant transformation is highly interesting.
Hoh : In the beginning, while living in France, I experienced a sense of incomplete communication both between people and between myself and society. To fill this void, I attempted to express the issues prevalent in Korean society. However, being physically distant from Korea, my only access to information was through the superficial and fragmented content available on the internet. By editing them like a mosaic, I wanted to express the abstract impressions I experienced as a scene from the incomprehensible play. As the work progressed, I gradually realized that I was consuming it as an image rather than dealing with social issues in depth. My interest shifted to the objects around me, and as I arranged them on the wall, I began to contemplate more deeply about myself and the world, considering what I wanted to express.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the works, which had gradually taken shape through the images of surrounding objects, started to simplify further into figurative forms. These progressed forms consisted of lines and white surface. Up to this point, the superficial form remained abstract, but the process of creating the artwork had a figurative aspect. What intrigued me was that the finished works started to provoke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hey posed new questions to me about the invisible, harmony, my percep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process of answering those questions became artworks again.
Kim : Recently, with the emphasis on abstraction, it seems that the work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I wonder if it was intended to prevent the viewer from understanding the work, or if it is the result of focusing on aesthetic perfection regardless of the viewer's understanding.
Hoh : Of course, it was never intended for people to not understand the works. In the case of works from the time when they started simplifying into lines and surface, there may have been a point where the viewer could discern what was depicte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m compared to now. Recent works may feel difficult because they have taken on a more conceptual approach. The recent works, for example, are made based on a specific supposition unknown to the viewer that invisible areas created when lines are drawn overlap and cover the lines. This supposition makes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works.
Kim : While the aesthetic standards of the artist must be the top priority in the work, there seems to be a lot of thought about how to deliver the work to the viewer.
Hoh : That's the aspect I'm still grappling with. It would be wonderful if the work could be intuitively conveyed, but I believe there's an issue in solely approaching it from a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It's challenging to comprehend, but there must be a crucial element that can evoke a specific impression or feeling while also reaching a point where the artist finds satisfaction. It's no easy feat, but I believe it's a task that must be accomplished.
Kim : The paintings showcased at Chapter II not too long ago, and currently on display at Chapter II Yard, exhibit a simpler form and a more vibrant use of colors. If the previous works felt somewhat weighty, these pieces are comparatively lighter and evoke a sense of airiness.
Hoh : I didn't intentionally employ color to convey a sense of lightness. In the artwork exhibited at SongEun ArtCube last year, the overlapping sections, previously depicted as lines or concealed by surfaces, were unveiled through the use of color. I aimed to avoid revealing the overlapping shadows in black. Instead, I wanted to explore the dynamic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thus utilized color to create a contrasting effect. The paintings exhibited at Chapter II naturally embraced color as part of the evolving artistic process, suggesting a sense of overlap. In the past, it felt as if the lines were interconnected, but now they seem to spread out or impart a rhythmic impression. The new works can be described as somewhat distinct from those previously exhibited in Chapter II. Within an invisible infinite pattern, multiple canvases coexist. When these works are brought together, they become integral to the pattern, yet individually, they do not evoke the pattern. Each canvas possesses its own individuality, encapsulating a sense of universality, and I aimed to convey this independent characteristic through the use of color.
Kim : If the existing works were considered individually, the recent pieces have forged connections among them. I am excited about the potential changes in your future works, as you have begun to explore the broader context in which these relationships unfold.
Hwanju Kim specialized i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and gained experience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oil paintings conserva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Currently, he works as a conservator in charge of conservation management at the Daejeon Museum of Art (DMA). He directed “Daejeon Museum of Art's Open Storage Project”, which opened in October 2022, as well as “Restoration Project on Nam June Paik's Fractal Turtle Ship”. His notable papers includ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evaluation of Korean national and public art musuems within the acquisition procedure of museum collection” (2022),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management of collection and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2021), “Management history and conservation status of Fractal Turtle Ship by Nam June Paik” (2020), “A Study on the methods for installation and conservation of Tom Shannon’s Ball Ray” (2019), etc. He is interested in the conservation management of contemporary art works, the museum's conservation policy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musuem collections.
허우중 & 김환주 대담
김환주(이하 김) : 평범한 사람이 작가가 되어가는 과정은 늘 흥미롭게 느껴진다. 이것은 많은 경우 어린시절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언제부터 작가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나?
허우중(이하 허) : 아버지가 작가셨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미술을 보고 자랐고, 어머니도 미술에 관심이 많으셨다. 한 때는 작가가 된 것이 나의 주관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했던 적도 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작가로 살아오신 아버지와 자연스럽게 그림을 그릴 수 있었던 가정환경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 같다.
김 : 국내 미술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프랑스로 유학을 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더불어 작가로 성장하는데 유학생활이 미친 영향에 대한 이야기도 궁금하다.
허 : 미술은 어린시절부터 즐거운 놀이이자 천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지만, 시골에 살고있던 터라 주변에 예술고등학교나 입시전문 미술학원과 같은 선택지가 없었다. 게다가 입시미술에 대한 부모님의 부정적인 시각도 있어서 일반고등학교에 진학했고, 학교 수업과 야간자율학습까지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밤늦도록 혼자서 끄적거리며 무언가를 그려댔던 시간이 많았다. 남들이 하는 과정을 똑같이 밟기 싫고,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서 무언가를 체득하려는 치기어린 마음도 있었던 것 같다. 결국 미술은 하고 싶은 데 입시미술은 하지 않았으니 해외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어떤 구체적인 계획 없이 무작정 프랑스 유학을 선택했다. 부모님께서도 별다른 반대가 없으셨기에 어학문제 정도를 제외하고는 무리없이 유학길에 오르게 되었는데, 그 후로 10년이나 있게 될 줄은 몰랐다.
김 : 작가가 되기로 마음먹은 것에 대해 후회하거나 흔들린 적은 없었나? 외국에서 생활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쉬운 일이 아니었을텐데, 작업을 지속하고 작가로서의 자아를 구축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 같다.
허 : 프랑스에 있는 동안 불안한 마음은 항상 안고 지냈던 것 같다. 프랑스의 미술대학 커리큘럼은 특정한 가이드나 제약없이 자기가 원하는 수업을 원하는 만큼만 수강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자율성이 높은만큼 어떤 수업을 듣고 어떤 식으로 학교생활을 할지 막막했다. 당시에는 학교가 이렇게 학생들을 방치해도 되나 싶었는데, 되짚어보면 작가가 되는 데에는 이런 철저한 방임주의가 도움이 된 것 같다. 학교생활 뿐만 아니라 유학시절에는 모든 것을 혼자서 선택해야했고, 낯선 환경과 관계들 속에서 익숙함과 편안함이 없는 생활을 이어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작가로서 독립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 같다.
김 : 작업과정은 크게 구상하는 단계와 시각화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을텐데, 각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이 궁금하다.
허 : 작업은 아이디어 스케치를 끄적거리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여기서 나오는 시각적인 정보들을 관찰하고, 변형시키고, 발전시키면서 아이디어의 완성도를 높여간다. 머릿속으로 생각한 무엇을 그림으로 옮긴다기 보다는 스케치가 곧 사고를 확장시키는 과정으로 느껴진다. 캔버스는 스케치 때와는 또 다른 하나의 독립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여기에 어떻게 표현할지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옮기는 작업에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재료와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처음의 아이디어는 다시 변형되고 예상하지 못한 우연적인 형태를 발견하게 되기도 한다. 아이디어 스케치와 캔버스에는 큰 차이가 있는데, 아이디어 스케치는 연필로만 그리기 때문에 면을 간과하게 된다. 캔버스로 넘어가면서 면이 전면적으로 등장하게 되고, 또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간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캔버스로 옮기면서 달라지는 부분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고, 스케치를 정확하게 옮겼는데도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구상의 단계로 돌아간다. 아이디어 스케치와 캔버스에 옮겨진 결과물의 인상을 반복적으로 조율해나가는 작업은 대단히 비효율적이지만 생략할 수 없는 과정이다.
김 : 구상과 시각화의 과정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고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 점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허 :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작업에 들어가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정리되지 않은 형태로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생각들을 에스키스라 할 수 있는 낙서의 형태로 시각화하면서 특정한 아이디어와 이미지가 서로 결합될 때 비로소 작업의 단서가 만들어지는 것 같다.
김 : 캔버스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를 보면 유성물감과 더불어 연필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 일반적으로 연필은 밑그림에 사용되고 물감은 화면을 완성하는 재료인데, 이 두 재료가 의미적으로 도치된 것처럼 느껴진다.
허 : 연필이 가지는 불확실하고 가변적인 속성, 즉 쉽게 지워질 수 있다는 점과 흐리고 가는 선이 갖는 연약함이 매력적이었다. 동시에 연필은 그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이면서, 흐름성이 높은 물감과 달리 사용 즉시 안정성을 갖는다. 물감은 건조된 이후에는 견고해지지만 경화되기까지 쉽게 변형될 위험이 있는 반면, 연필은 건조과정없이 사용 중과 후의 차이가 없지만 언제든 지워질 수 있는 재료이다. 이런 상반된 특징을 갖는 재료들이 공존하는 느낌이 좋았다.
김 : 연필도 흑연을 바인더와 혼합시킨 것으로서 유성물감의 건성유와 만나면 경화되는 특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허 : 그렇다. 상이한 물성을 가진 재료이지만, 고유의 질감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고, 특히 연필은 물감을 만나면서 견고해진다. 이런 재료적인 특성은 작업을 진행하면서 시각적으로나 촉각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이런 감각적인 부분이 결국에는 의미적인 부분과도 닿게되는 것 같다.
김 : 초기 작업들의 경우 모노톤의 강렬한 대비와 더불어 어떤 이야기의 한 장면같은 모습으로 보일만큼 구체적인 형상들을 나타내는데, 이후 작품 속의 형상들은 점차 단순화되고, 선과 면으로 이루어진, 형태적으로는 완벽히 추상작품의 모습을 갖게 된다. 이런 큰 폭의 변화가 대단히 흥미롭다.
허 : 초기에는 프랑스에서 생활하면서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 사회와 나 사이의 소통이 불완전하다고 느꼈고, 한국 사회의 이슈들을 표현함으로써 소통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한국과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건 인터넷을 통한 피상적이고 파편적인 정보들 뿐이었다. 그것을 모자이크처럼 편집하면서 내가 받는 추상적인 인상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는 연극의 한 장면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점차 한국에서의 사회적 이슈를 깊이있게 다룬다기 보다는 이미지로서 소비한다는 느낌을 스스로 받았다. 주변 사물들에 관심이 옮아가고, 그것을 벽에 나열해보면서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자신과 세상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다. 주변 사물들의 이미지를 통해 아슬아슬하게 쌓아올려진 작업이라든지, 여기서 더 나아가 사물의 형태 자체가 도형으로 단순화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부터였던 것 같다. 여기서 더 진전시킨 형태가 선과 흰색 면으로 이루어진 작업들인데, 이때까지만 해도 표면적인 형태는 추상적이지만 작업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은 구상적인 면이 있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완성된 작업이 오히려 내게 다른 생각을 요구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것들, 균형,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관계맺고 있는지 등 새로운 질문들을 내가 그린 그림으로부터 받았고, 그것에 내가 반응해나가는 과정이 다시 작품이 되었다.
김 : 최근 들어서 추상성이 강조되면서 작업이 점점 난해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작품을 보는 관람객이 작품을 이해할 수 없도록 의도한 것인지, 혹은 관람객의 이해와 무관하게 미학적인 완성도에 집중한 결과인지 궁금하다.
허 : 관람객이 이해할 수 없도록 의도한 것은 물론 아니다. 선과 면으로 단순화하기 시작한 무렵의 작품들의 경우 형태적으로는 지금과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그린 것인지 읽을 수 있는 지점이 있었다면, 최근 작품들은 더 개념적으로 접근했기 때문에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작품은 특정한 가정, 예컨대 선이 그어졌을 때 생성되는 보이지 않는 면들이나 그 면들이 중첩되면서 선들이 분절되거나 가려지는 모습과 같이 관람객은 알 수 없는 특정한 가정 위에서 선과 면이 다층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전 작품들과는 의미나 과정에서 큰 차이를 갖는다.
김 : 작업에 있어서 작가의 미학적 기준이 무엇보다 우선이겠으나, 작품을 관람객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이 있을 것 같다.
허 : 계속해서 고민하는 부분이다. 작품이 직관적으로 전달이 되었으면 좋겠지만, 단순히 작품을 이해적인 측면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어떤 인상이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부분이 있어야 하고, 그러면서도 작가로서 만족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것. 어렵지만 달성해야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김 : 얼마 전 챕터투에서 전시했던, 그리고 현재 챕터투 야드에서 전시 중인 작품들은 형태적으로 더 단순해지고, 색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전의 작품들이 다소 무겁게 느껴졌다면, 이번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경쾌하게 느껴진다.
허 : 의도적으로 색을 써서 경쾌함을 주고자 한 것은 아니다. 작년 송은 아트큐브에서 전시했던 작품에서 선으로 표현되었거나 면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 중첩된 부분을 색으로 드러냈었다. 중첩되어 그림자진 부분을 검은색으로 드러내고 싶지는 않았다. 여기서 주체와 객체는 누가 결정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색을 사용함으로써 대비를 주었다. 챕터투에서 전시했던 작품은 중첩을 암시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작업의 변화로서 색을 넣게 되었다. 예전에는 선들이 하나로 이어져있는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분절된 선들이 확산되거나 율동적인 인상을 주는 것 같은데, 의도라기 보다는 작업에 선행하는 특정한 가정으로 인해 얻게 된 결과물인 것 같다. 지금 신작들은 챕터투에 전시했던 것과도 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보이지 않는 무한한 패턴 내에 다수의 캔버스들이 존재하는데, 작품들이 모이게 되면 패턴의 일부가 되지만, 개별적으로 있으면 패턴이 연상되지 않는다. 각각의 캔버스는 일종의 보편성을 담고 있는 개별자로서 존재하고, 이런 독립적인 특성을 색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김 : 기존의 작품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했다면, 최근작에서는 작품들간의 관계가 생기고, 그 관계가 놓인 바탕까지 가정의 스케일을 확장시키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변화가 기대된다.
김환주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재수리복원을 전공하고, 국립현대미술관 유화보존실을 거쳐 현재 대전시립미술관 소장품 보존관리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2022년 10월 개관한 대전시립미술관 열린수장고 건립 사업과 백남준 <프랙탈 거북선> 복원 프로젝트를 총괄했으며, 주요 논문으로 「국·공립미술관의 작품수집 과정 및 보존평가 현황 분석」(2022), 「대전시립미술관 작품 보존·관리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2021), 「백남준 作 <프랙탈 거북선>의 관리이력 및 보존현황」(2020), 「톰 샤농 <광선구>의 작품설치와 보존방안 연구」(2019) 등이 있다. 현대미술작품의 보존관리, 미술관의 보존정책과 소장품 통합관리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Hwanju Kim : The process of an ordinary person becoming an artist is always interesting. I believe it is closely tied to one's childhood, when did you first start contemplating the idea of becoming an artist?
Hoh Woo Jung : As my father was a painter, I was exposed to art from a young age, and my mother shared a deep passion for it as well. At one point, I believed that becoming an artist was solely my personal decision. However, upon reflection, I realize that my father's life as an artist and the nurturing artistic atmosphere within my family had a profound impact on me.
Kim : What led you to choose studying abroad in France over attending an art university in South Korea? Additionally, I'm intrigued by the story of how studying abroad influenced your development as an artist.
Hoh : Art has always been a source of joy and passion for me since childhood. However, living in the countryside limited my access to specialized institutions like art high schools or academies focused on entrance exams. Furthermore, my parents held a negative view towards academic art, so I ended up attending a regular high school. Despite this, I would spend countless hours in the evenings, after school classes, engrossed in scribbling and drawing alone late into the night. I didn't want to follow the conventional path that others took, and I had a curious mindset to explore and learn things on my own without relying on external assistance. Eventually, my passion led me towards art, but I didn't pursue formal art education in South Korea. Instead, I turned my gaze towards studying abroad, specifically in France, without any concrete plans in mind. Fortunately, my parents had no objections, so I embarked on my journey of studying abroad without much difficulty, aside from the language barrier. Little did I know that my stay there would extend to a decade.
Kim : Have you ever had moments of doubt or regret about your decision to become an artist? Living in a foreign country alone can be challenging, and I imagine there were numerous obstacles to overcome in order to sustain your artistic journey and establish yourself.
Hoh : While in France, I constantly felt a sense of unease. The French art school curriculum allowed students a high degree of freedom, with no specific guidance or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classes they could take. This made it challenging to determine which courses to enroll in and how to navigate their school life. At the time, I questioned whether it was acceptable for schools to neglect students in such a manner. However, in retrospect, it appears that this principle of comprehensive neglect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me into the artist I am today. Not only during my academic journey but also throughout my time studying abroad, I had to make all decisions by myself. Living in unfamiliar environments and forming new relationships without the familiarity and comfort of home, it appears that I naturally fostered an independent mindset, which greatly influenced my growth as an artist.
Kim : The work proces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stage of envisioning and the stage of visualization, but I am curious about the specific progress in each stage.
Hoh : The work begins by scribbling down ideas, and the visual information that emerges from them is carefully observed, transformed, and developed to enhance the overall completeness of the concept. Instead of simply transferring my thoughts from my mind onto the sketch, I believe that sketching itself is a process of expanding my thinking. As the canvas serves as an independent space separate from the sketching phase, I commence the work of translating the idea after contemplating how to express it specifically in this context. Throughout this process, as materials and sizes evolve, the initial ideas undergo further transformation, leading to the discovery of unexpected and serendipitous shapes. There is a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an idea sketch and a canvas. Idea sketches, drawn solely with a pencil, tend to overlook the dimensionality of the surface. As the work transitions onto the canvas, the texture and materials come into full effect, inevitably creating gaps due to their inherent differences. Throughout the process, I carefully observe the evolving elements as they transfer onto the canvas. If I am dissatisfied with the precise translation from the sketch, I revisit the conception stage. The iterative task of continuously adjusting the impression from the idea sketch to match the outcome on the canvas is a laborious yet indispensable process.
Kim : It is fascinating how the process of conception and visualization is not distinctly separated but rather share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Hoh : It is rare for me to have a specific idea in mind and immediately begin working. Instead, I visualize the multitude of thoughts in a disorganized manner through scribbles, often referred to as Esquisse. It is through the combination of specific ideas and images that the clues to my work are formed.
Kim : Examining the materials involv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canvas, it becomes apparent that pencils, alongside oil paints, play a significant role. Typically, pencils are employed for preliminary sketches, while paints serve as the medium for finalizing the artwork. However, there is an intriguing semantic inversion between these two materials in your artworks.
Hoh : The uncertain and variable nature of a pencil, characterized by its ease of erasure and the fragility of creating blurry, thin lines, held a certain allure for me. Simultaneously, the pencil serves as the fundamental material in composing a picture, offering stability immediately upon use unlike highly fluid paints. Paint solidifies after drying, but there is a risk of it being easily deformed until fully hardened. On the other hand, a pencil is a material that can be erased at any time, regardless of whether it has dried or not,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its use and post-use. I find great satisfaction in the coexistence of materials with such contrasting characteristics.
Kim : A pencil is also a mixture of graphite and a binder, and it is thought tha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oil of oil paint, it acquires a characteristic of hardening.
Hoh : Indeed, despite their distinct physical properties, these materials mutually influence each other while retaining their own texture and shape. In particular, pencils undergo a solidifying transformation when they interact with paint. These inh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play a vital role both visually and tactilely throughout the artistic process, eventually merging with the conceptual aspects of the work.
Kim : In the early works, concrete shapes are depicted with strong contrasts in monotone, resembling scenes from a story. However, as the works progress, the shapes gradually simplify, consisting of lines and surface, eventually taking on a completely abstract form. This significant transformation is highly interesting.
Hoh : In the beginning, while living in France, I experienced a sense of incomplete communication both between people and between myself and society. To fill this void, I attempted to express the issues prevalent in Korean society. However, being physically distant from Korea, my only access to information was through the superficial and fragmented content available on the internet. By editing them like a mosaic, I wanted to express the abstract impressions I experienced as a scene from the incomprehensible play. As the work progressed, I gradually realized that I was consuming it as an image rather than dealing with social issues in depth. My interest shifted to the objects around me, and as I arranged them on the wall, I began to contemplate more deeply about myself and the world, considering what I wanted to express.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the works, which had gradually taken shape through the images of surrounding objects, started to simplify further into figurative forms. These progressed forms consisted of lines and white surface. Up to this point, the superficial form remained abstract, but the process of creating the artwork had a figurative aspect. What intrigued me was that the finished works started to provoke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hey posed new questions to me about the invisible, harmony, my percep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process of answering those questions became artworks again.
Kim : Recently, with the emphasis on abstraction, it seems that the work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I wonder if it was intended to prevent the viewer from understanding the work, or if it is the result of focusing on aesthetic perfection regardless of the viewer's understanding.
Hoh : Of course, it was never intended for people to not understand the works. In the case of works from the time when they started simplifying into lines and surface, there may have been a point where the viewer could discern what was depicte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m compared to now. Recent works may feel difficult because they have taken on a more conceptual approach. The recent works, for example, are made based on a specific supposition unknown to the viewer that invisible areas created when lines are drawn overlap and cover the lines. This supposition makes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works.
Kim : While the aesthetic standards of the artist must be the top priority in the work, there seems to be a lot of thought about how to deliver the work to the viewer.
Hoh : That's the aspect I'm still grappling with. It would be wonderful if the work could be intuitively conveyed, but I believe there's an issue in solely approaching it from a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It's challenging to comprehend, but there must be a crucial element that can evoke a specific impression or feeling while also reaching a point where the artist finds satisfaction. It's no easy feat, but I believe it's a task that must be accomplished.
Kim : The paintings showcased at Chapter II not too long ago, and currently on display at Chapter II Yard, exhibit a simpler form and a more vibrant use of colors. If the previous works felt somewhat weighty, these pieces are comparatively lighter and evoke a sense of airiness.
Hoh : I didn't intentionally employ color to convey a sense of lightness. In the artwork exhibited at SongEun ArtCube last year, the overlapping sections, previously depicted as lines or concealed by surfaces, were unveiled through the use of color. I aimed to avoid revealing the overlapping shadows in black. Instead, I wanted to explore the dynamic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thus utilized color to create a contrasting effect. The paintings exhibited at Chapter II naturally embraced color as part of the evolving artistic process, suggesting a sense of overlap. In the past, it felt as if the lines were interconnected, but now they seem to spread out or impart a rhythmic impression. The new works can be described as somewhat distinct from those previously exhibited in Chapter II. Within an invisible infinite pattern, multiple canvases coexist. When these works are brought together, they become integral to the pattern, yet individually, they do not evoke the pattern. Each canvas possesses its own individuality, encapsulating a sense of universality, and I aimed to convey this independent characteristic through the use of color.
Kim : If the existing works were considered individually, the recent pieces have forged connections among them. I am excited about the potential changes in your future works, as you have begun to explore the broader context in which these relationships unfold.
Hwanju Kim specialized i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and gained experience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oil paintings conserva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Currently, he works as a conservator in charge of conservation management at the Daejeon Museum of Art (DMA). He directed “Daejeon Museum of Art's Open Storage Project”, which opened in October 2022, as well as “Restoration Project on Nam June Paik's Fractal Turtle Ship”. His notable papers includ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evaluation of Korean national and public art musuems within the acquisition procedure of museum collection” (2022),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management of collection and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2021), “Management history and conservation status of Fractal Turtle Ship by Nam June Paik” (2020), “A Study on the methods for installation and conservation of Tom Shannon’s Ball Ray” (2019), etc. He is interested in the conservation management of contemporary art works, the museum's conservation policy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musuem collections.
허우중 & 김환주 대담
김환주(이하 김) : 평범한 사람이 작가가 되어가는 과정은 늘 흥미롭게 느껴진다. 이것은 많은 경우 어린시절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언제부터 작가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나?
허우중(이하 허) : 아버지가 작가셨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미술을 보고 자랐고, 어머니도 미술에 관심이 많으셨다. 한 때는 작가가 된 것이 나의 주관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했던 적도 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작가로 살아오신 아버지와 자연스럽게 그림을 그릴 수 있었던 가정환경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 같다.
김 : 국내 미술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프랑스로 유학을 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더불어 작가로 성장하는데 유학생활이 미친 영향에 대한 이야기도 궁금하다.
허 : 미술은 어린시절부터 즐거운 놀이이자 천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지만, 시골에 살고있던 터라 주변에 예술고등학교나 입시전문 미술학원과 같은 선택지가 없었다. 게다가 입시미술에 대한 부모님의 부정적인 시각도 있어서 일반고등학교에 진학했고, 학교 수업과 야간자율학습까지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밤늦도록 혼자서 끄적거리며 무언가를 그려댔던 시간이 많았다. 남들이 하는 과정을 똑같이 밟기 싫고,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서 무언가를 체득하려는 치기어린 마음도 있었던 것 같다. 결국 미술은 하고 싶은 데 입시미술은 하지 않았으니 해외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어떤 구체적인 계획 없이 무작정 프랑스 유학을 선택했다. 부모님께서도 별다른 반대가 없으셨기에 어학문제 정도를 제외하고는 무리없이 유학길에 오르게 되었는데, 그 후로 10년이나 있게 될 줄은 몰랐다.
김 : 작가가 되기로 마음먹은 것에 대해 후회하거나 흔들린 적은 없었나? 외국에서 생활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쉬운 일이 아니었을텐데, 작업을 지속하고 작가로서의 자아를 구축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 같다.
허 : 프랑스에 있는 동안 불안한 마음은 항상 안고 지냈던 것 같다. 프랑스의 미술대학 커리큘럼은 특정한 가이드나 제약없이 자기가 원하는 수업을 원하는 만큼만 수강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자율성이 높은만큼 어떤 수업을 듣고 어떤 식으로 학교생활을 할지 막막했다. 당시에는 학교가 이렇게 학생들을 방치해도 되나 싶었는데, 되짚어보면 작가가 되는 데에는 이런 철저한 방임주의가 도움이 된 것 같다. 학교생활 뿐만 아니라 유학시절에는 모든 것을 혼자서 선택해야했고, 낯선 환경과 관계들 속에서 익숙함과 편안함이 없는 생활을 이어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작가로서 독립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 같다.
김 : 작업과정은 크게 구상하는 단계와 시각화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을텐데, 각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이 궁금하다.
허 : 작업은 아이디어 스케치를 끄적거리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여기서 나오는 시각적인 정보들을 관찰하고, 변형시키고, 발전시키면서 아이디어의 완성도를 높여간다. 머릿속으로 생각한 무엇을 그림으로 옮긴다기 보다는 스케치가 곧 사고를 확장시키는 과정으로 느껴진다. 캔버스는 스케치 때와는 또 다른 하나의 독립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여기에 어떻게 표현할지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옮기는 작업에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재료와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처음의 아이디어는 다시 변형되고 예상하지 못한 우연적인 형태를 발견하게 되기도 한다. 아이디어 스케치와 캔버스에는 큰 차이가 있는데, 아이디어 스케치는 연필로만 그리기 때문에 면을 간과하게 된다. 캔버스로 넘어가면서 면이 전면적으로 등장하게 되고, 또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간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캔버스로 옮기면서 달라지는 부분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고, 스케치를 정확하게 옮겼는데도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구상의 단계로 돌아간다. 아이디어 스케치와 캔버스에 옮겨진 결과물의 인상을 반복적으로 조율해나가는 작업은 대단히 비효율적이지만 생략할 수 없는 과정이다.
김 : 구상과 시각화의 과정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고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 점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허 :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작업에 들어가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정리되지 않은 형태로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생각들을 에스키스라 할 수 있는 낙서의 형태로 시각화하면서 특정한 아이디어와 이미지가 서로 결합될 때 비로소 작업의 단서가 만들어지는 것 같다.
김 : 캔버스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를 보면 유성물감과 더불어 연필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 일반적으로 연필은 밑그림에 사용되고 물감은 화면을 완성하는 재료인데, 이 두 재료가 의미적으로 도치된 것처럼 느껴진다.
허 : 연필이 가지는 불확실하고 가변적인 속성, 즉 쉽게 지워질 수 있다는 점과 흐리고 가는 선이 갖는 연약함이 매력적이었다. 동시에 연필은 그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이면서, 흐름성이 높은 물감과 달리 사용 즉시 안정성을 갖는다. 물감은 건조된 이후에는 견고해지지만 경화되기까지 쉽게 변형될 위험이 있는 반면, 연필은 건조과정없이 사용 중과 후의 차이가 없지만 언제든 지워질 수 있는 재료이다. 이런 상반된 특징을 갖는 재료들이 공존하는 느낌이 좋았다.
김 : 연필도 흑연을 바인더와 혼합시킨 것으로서 유성물감의 건성유와 만나면 경화되는 특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허 : 그렇다. 상이한 물성을 가진 재료이지만, 고유의 질감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고, 특히 연필은 물감을 만나면서 견고해진다. 이런 재료적인 특성은 작업을 진행하면서 시각적으로나 촉각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이런 감각적인 부분이 결국에는 의미적인 부분과도 닿게되는 것 같다.
김 : 초기 작업들의 경우 모노톤의 강렬한 대비와 더불어 어떤 이야기의 한 장면같은 모습으로 보일만큼 구체적인 형상들을 나타내는데, 이후 작품 속의 형상들은 점차 단순화되고, 선과 면으로 이루어진, 형태적으로는 완벽히 추상작품의 모습을 갖게 된다. 이런 큰 폭의 변화가 대단히 흥미롭다.
허 : 초기에는 프랑스에서 생활하면서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 사회와 나 사이의 소통이 불완전하다고 느꼈고, 한국 사회의 이슈들을 표현함으로써 소통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한국과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건 인터넷을 통한 피상적이고 파편적인 정보들 뿐이었다. 그것을 모자이크처럼 편집하면서 내가 받는 추상적인 인상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는 연극의 한 장면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점차 한국에서의 사회적 이슈를 깊이있게 다룬다기 보다는 이미지로서 소비한다는 느낌을 스스로 받았다. 주변 사물들에 관심이 옮아가고, 그것을 벽에 나열해보면서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자신과 세상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다. 주변 사물들의 이미지를 통해 아슬아슬하게 쌓아올려진 작업이라든지, 여기서 더 나아가 사물의 형태 자체가 도형으로 단순화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부터였던 것 같다. 여기서 더 진전시킨 형태가 선과 흰색 면으로 이루어진 작업들인데, 이때까지만 해도 표면적인 형태는 추상적이지만 작업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은 구상적인 면이 있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완성된 작업이 오히려 내게 다른 생각을 요구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것들, 균형,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관계맺고 있는지 등 새로운 질문들을 내가 그린 그림으로부터 받았고, 그것에 내가 반응해나가는 과정이 다시 작품이 되었다.
김 : 최근 들어서 추상성이 강조되면서 작업이 점점 난해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작품을 보는 관람객이 작품을 이해할 수 없도록 의도한 것인지, 혹은 관람객의 이해와 무관하게 미학적인 완성도에 집중한 결과인지 궁금하다.
허 : 관람객이 이해할 수 없도록 의도한 것은 물론 아니다. 선과 면으로 단순화하기 시작한 무렵의 작품들의 경우 형태적으로는 지금과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그린 것인지 읽을 수 있는 지점이 있었다면, 최근 작품들은 더 개념적으로 접근했기 때문에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작품은 특정한 가정, 예컨대 선이 그어졌을 때 생성되는 보이지 않는 면들이나 그 면들이 중첩되면서 선들이 분절되거나 가려지는 모습과 같이 관람객은 알 수 없는 특정한 가정 위에서 선과 면이 다층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전 작품들과는 의미나 과정에서 큰 차이를 갖는다.
김 : 작업에 있어서 작가의 미학적 기준이 무엇보다 우선이겠으나, 작품을 관람객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이 있을 것 같다.
허 : 계속해서 고민하는 부분이다. 작품이 직관적으로 전달이 되었으면 좋겠지만, 단순히 작품을 이해적인 측면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어떤 인상이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부분이 있어야 하고, 그러면서도 작가로서 만족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것. 어렵지만 달성해야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김 : 얼마 전 챕터투에서 전시했던, 그리고 현재 챕터투 야드에서 전시 중인 작품들은 형태적으로 더 단순해지고, 색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전의 작품들이 다소 무겁게 느껴졌다면, 이번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경쾌하게 느껴진다.
허 : 의도적으로 색을 써서 경쾌함을 주고자 한 것은 아니다. 작년 송은 아트큐브에서 전시했던 작품에서 선으로 표현되었거나 면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 중첩된 부분을 색으로 드러냈었다. 중첩되어 그림자진 부분을 검은색으로 드러내고 싶지는 않았다. 여기서 주체와 객체는 누가 결정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색을 사용함으로써 대비를 주었다. 챕터투에서 전시했던 작품은 중첩을 암시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작업의 변화로서 색을 넣게 되었다. 예전에는 선들이 하나로 이어져있는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분절된 선들이 확산되거나 율동적인 인상을 주는 것 같은데, 의도라기 보다는 작업에 선행하는 특정한 가정으로 인해 얻게 된 결과물인 것 같다. 지금 신작들은 챕터투에 전시했던 것과도 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보이지 않는 무한한 패턴 내에 다수의 캔버스들이 존재하는데, 작품들이 모이게 되면 패턴의 일부가 되지만, 개별적으로 있으면 패턴이 연상되지 않는다. 각각의 캔버스는 일종의 보편성을 담고 있는 개별자로서 존재하고, 이런 독립적인 특성을 색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김 : 기존의 작품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했다면, 최근작에서는 작품들간의 관계가 생기고, 그 관계가 놓인 바탕까지 가정의 스케일을 확장시키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변화가 기대된다.
김환주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재수리복원을 전공하고, 국립현대미술관 유화보존실을 거쳐 현재 대전시립미술관 소장품 보존관리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2022년 10월 개관한 대전시립미술관 열린수장고 건립 사업과 백남준 <프랙탈 거북선> 복원 프로젝트를 총괄했으며, 주요 논문으로 「국·공립미술관의 작품수집 과정 및 보존평가 현황 분석」(2022), 「대전시립미술관 작품 보존·관리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2021), 「백남준 作 <프랙탈 거북선>의 관리이력 및 보존현황」(2020), 「톰 샤농 <광선구>의 작품설치와 보존방안 연구」(2019) 등이 있다. 현대미술작품의 보존관리, 미술관의 보존정책과 소장품 통합관리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